본문 바로가기

기타 일상생활에서의 썰/그 외 잡썰

[모바일게임]뉴 한판맞고(+맞고 용어 몇 가지 소개)

반응형
728x170

본 포스트의 원문은 https://blog.naver.com/newpark314/221858597374 입니다.

 

[모바일게임]뉴 한판맞고(+맞고 용어 몇 가지 소개)

*본 포스트는 정말 오래간만에(?) 구형 스마트에디터로 작성한 것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정...

blog.naver.com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정말 오래간만에 게임 관련 주제로 포스트하게 되었습니다. 저의 귀차니즘으로 인해 

생각보다 늦게 포스트하게 되었으며, 게임 제목은 '뉴 한판맞고'입니다. 원래는 '한판맞고'라는 이름으로 2011년쯤에 

나왔던 게임인데 계속 업그레이드되어 '뉴 한판맞고'까지 오게 되었으며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 등에서 

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용 맞고 게임임을 알려 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플레이 동영상부터 올려 드리겠습니다.

(타격감이 좋습니다.) 이런 맞고 영상은 네이버tv에 올릴 경우 광고를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일반 영상으로 올립니다.

그럼 이어서 플레이 스크린 샷을 올려 드리고 영상의 엔딩크레딧 부분에 있는 맞고 용어 몇 가지를 설명하겠습니다.

위 영상 썸네일에 나온 "쪽"이라고 하는 것은 플레이어가 패를 하나 냈는데 뒤집혀 있는 패에서 같은 월의 패가

나왔을 때 적용되는 것으로 상대의 피를 하나 빼앗아 올 수 있습니다.(쌍피밖에 없는 경우 그 쌍피를 빼앗아 옵니다.)

메인 화면 사진입니다. 과거에는 카카오톡 친구를 초대하여 1:1 멀티플레이 기능도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진

상황입니다. 이 사진만 원본보기가 가능하게 올렸으며, 이후 이미지는 가로 370픽셀로 줄여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크롤의 압박 방지.) 보시면 '무료 화투점'으로 매일 1회 점을 볼 수 있는데 점괘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꽤 많음을

알려 드립니다. 이어서 도전맞고 모드는 단계별로 미션을 해서 보상을 받는 모드고, 한판맞고는 만렙이 100이 

넘어가는 상황이며, 레벨 1부터 하루 30판씩 도전할 수 있으며, 상대방을 조건에 맞게 올인시키면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조건: 이틀 내 올인, 100판 내 올인 등.) 레벨이 높아질수록 1점당 액수도 많아집니다......

스크롤의 압박 방지를 위해 pc버전 기준 한 화면에 2장의 이미지를 붙였습니다. 위 이미지는 '화투점'을 치는 모습으로 

하루 첫 판 기준 같은 월끼리는 힌트를 줍니다. 화투점이라는 것은 위와 같이 화투패를 맞춰서 나온 결과에 따라 그 날의

 운세를 알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운세 결과인데, 12개 결과 중 일부만 나와 있음을 미리 알려 드립니다.

7, 11, 12월의 운세입니다. 7은 서양에서도 행운의 숫자라고 하는데 동양의 화투패에서도 행운의 숫자네요.

11/12월은 주로 부정적인 것에 관련된 운세입니다. 11월은 나가는 돈, 12월은 슬픈 일(悲)을 의미하네요.

*11월과는 반대로 8월은 들어오는 돈을 의미한다고 합니다.(위 이미지에는 없지만 제가 추가해 드립니다.)

3, 6, 10월의 운세입니다. 3월은 역마살(?)등을 의미하는 것 같으며, 6월은 좋은 소식을 의미하네요.

10월의 경우에도 11, 12월과 마찬가지로 별로 좋지 않은 패인데 긍정적인 소식인 6월과 함께 나온 게 신기합니다.

화투점이라는 것은 같은 월의 패가 1줄로 이어지도록 쌓여야 운세가 나오는데, 위와 같은 경우는 화투패를 다 쌓지

못하고 남았거나, 다 쌓았음에도 같은 월의 패가 이어지지 않은 경우입니다. 후자의 경우는 상당히 드물게 나오는데,

'화투점 운세가 나오지 않았던'날이 꽤 많았습니다. *사실 위 이미지의 우측 경우(PC버전 기준)가 더 신기하네요.

여기서 화투 용어 하나를 설명하고 가자면, 화투패의 경우 1월부터 12월까지의 패 48장(각 월당 4장씩)과 조커패

2장(쌍피, 3피)의 총 50장으로 구성됩니다. 1월부터 순서대로 이야기하면 학-매-벚꽃-흑싸리(등나무)-창포(난초)-

모란(장미?)-홍싸리-억새(공산?)-국진-장(풍)-똥(오동)-비의 순서고 일본에서는 똥과 비의 순서가 바뀐다고 합니다.

처음 접속 시 이벤트 캐릭터인 장회장 주니어 1주일짜리를 주더군요. 해당 캐릭터의 경우 '족보'시 2배가 적용되는

캐릭터이고 족보에 해당하는 패가 어디에 있는 지 알려 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여기서 화투 용어인 '족보'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화투패의 종류에는 광, 열, 띠, 피의 4종류가 있는데 주로 '띠'에서 존재하는 것입니다. 물론 '열'에서도

고도리라는 족보가 있지만 아래 부분에서 이야기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띠'족보에는 '청단, 홍단, 초단'이 있는데

우선 홍단의 경우 1월(학), 2월(매), 3월(벚꽃)에 있는 띠를 3장 모으면 홍단이라고 해서 3점이 적용되며, 이어서

청단은 6월(모란), 9월(국진), 10월(장)에 있는 띠 3장을 모으면 3점이고, 초단같은 경우는 4, 5, 7월의 띠를 

모으면 적용되는데, 위 이미지 2장에는 7월의 초단 띠가 공통적으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 12월(비)의

띠는 지역에 따라 족보로 인정하는 곳도 있으나 이 한판맞고에서는 족보에 해당하지 않음을 알려 드립니다.

이어서 '삼연뻑'과 '총통'이라는 단어는 위 이미지를 보시면 잘 알 수 있습니다. 삼연뻑 또는 쓰리뻑이라고 하는 것은

말 그대로 뻑을 세 번 하는 것을 말하는데 삼연뻑은 말 그대로 세 번 연속으로 뻑을 하는 것을 말하고, 쓰리뻑은 게임 중

세 번만(연속X) 뻑을 하시면 됩니다. 뻑을 하면 위와 같이 해골이 뜨는데 3개가 나와 있네요. 뻑이라는 것은 같은 월의

패를 놓았음에도 뒤집어져 있는 패 더미에서 또 같은 월의 패가 나와서 그 패들을 못 얻는 상황을 말합니다. 쓰리뻑으로

이기는 경우 10점이 적용되네요. 보통 7점 이상이면 승부가 난다고 그러는데 7~9점으로 이길 바에야 쓰리뻑으로 

이기는 게 맞다고 봅니다. 또한, '총통'도 마찬가지로 위 이미지를 보시면 무엇인 지 바로 알 수 있는데, 같은 월의 패

4장 모두 플레이어의 손에 들어갔을 때 적용됩니다. 다른 맞고 게임에서는 총통인 상태에서도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는데 이 '뉴 한판맞고'는 총통이 뜨면 10점이 나서 바로 종료됩니다. 단, 바닥패가 총통인 경우는 먼저 치는 사람이

먹은 것으로 간주하고 게임이 진행됩니다. 이 뉴 한판맞고 게임에서는 쓰리뻑, 총통이 은근히 자주 뜨더군요......

게임 결과 창입니다. 상대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점당 액수도 커집니다. 여기서 위 두 판 모두 '고도리'를 만들었음을

알 수 있는데 고도리라고 하는 것은 열끗(멍)에 있는 족보의 일종으로 2, 4, 8월에 있는 새 3마리를 먹으면 5점이

나게 되는 그런 족보입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12월에 있는 새, 6월에 있는 나비도 족보로 치는 경우도 있다네요.

띠의 경우 족보가 아닌 경우 5장부터 1점, 6장 2점, 7장 3점(이 경우는 대개 족보가 있기 때문에 5점 이상 적용.)

이런 식이고, 열끗(멍)의 경우에도 5장부터 1점, 6장 2점, 7장 3점으로 올라갑니다. 아, 9월의 국진 열끗의 경우는

이 게임 기준 1점이 나려는 경우 열끗과 쌍피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실 한판맞고 초기 버전에서는 9월

열끗은 피박 방지용으로도 쓰였는데(피가 5장일 경우 9월 열끗은 자동으로 피 자리로 넘어갔었음.), 여기서 피박이라 

하면 상대방의 피가 1점(10장) 이상인 상황에서 여러분이 먹은 피가 6장 이하일 때(대부분의 맞고에서는 7장 이하)

적용되며 점수가 2배로 변합니다. 이어서 '고박'이라는 경우 말 그대로 역전승 또는 역전패라고 하며, 상당히 짜릿한

경우입니다. 상대방이 먼저 고를 부른 이후 플레이어가 7점이 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고박을 먹일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이어서 '멍박'이라고 하는 것은 소위 '멍따'와 구분해서 불리는데요. 열끗이 7장 이상인 경우 2배가 

되는데 상대방의 열끗이 없는 경우 '멍박', 1장이라도 있는 경우 '멍따(멍텅구리 따블)'로 제가 알고 있는데 여기서는

멍박, 멍따 구분 없이 그냥 멍박으로 부르고 있음을 알립니다.(피박과 멍박이 중복 적용되어 4배가 찍혀 있네요.)

이 '뉴 한판맞고'에서는 15판을 하게 되면 16판째에는 '대박 찬스'라고 해서 점당 금액이 5배가 되는 모드가 나옵니다.

그런데 질 때의 경우에는 5배를 잃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만, 상대가 보스 레벨인 경우 똑같이 5배를 잃습니다.

이어서 '광박'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우선 광이라는 족보는 1, 3, 8, 11, 12월에 있는 것으로 '光'이 적혀 있습니다.

광이 3장이면 3광(12월의 광이 있을 시 비3광으로 2점), 4장이면 4광(4점), 5장이면 5광(15*2점)입니다. 그래서

5광의 경우 상대가 무조건 광박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30점이지요. 7점 이상이 난 상태기 때문에 5광만으로도 고를

부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광 말고 다른 족보가 적은 경우는 5광인 상태에서 스톱을 하시는 게 맞다고 봅니다. 사실

저는 고를 많이 부르는 스타일이 아니고 2고에서 스톱을 많이 하는 편이지요.(3고부터 점수가 2배가 됩니다......)

2판 연속으로 5광을 한 모습 *이 게임의 경우 플레이 1판에 1분도 채 걸리지 않음을 알립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던 쓰리뻑('뻑'의 경우 쌌다, 설사라고도 하며 11월을 싼 경우 '똥을 쌌다'고 합니다.)과 총통입니다.

이어서 '나가리'라는 단어를 설명하자면 쉽게 말해서 무승부라는 이야기입니다. 나가리의 다음 판은 

무조건 2배가 됩니다. 고를 불렀는데 두 플레이어 모두 점수가 나지 않은 경우 나가리라고 합니다. 

청단, 5고가 들어간 모습. 별 3개로 올인한 모습.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래픽, 타격감이 상당히 좋습니다.

사실 1000점을 넘게 받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6고까지 들어간 모습과 별 3개 올인. 골드는 게임 아이템을 살 수 있는 재화입니다.

피 점수로만 7점이 나서 이긴 모습, 새 게임을 시작할 때 조건이 나오는 모습입니다.

n판 내로 올인하는 조건의 경우 레벨이 낮으면 쉽게 깰 수 있습니다. 다만, 1번 올인시킨 이후 그 상대를 다시

부활시킬 수도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난이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 게임의 상대들은 현실에 있는 캐릭터,

사람들을 오마주&패러디해서 만든 경우가 꽤 많은 것 같아서 이 점을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1000점을 넘긴 모습과 피 점수 단 1점도 없이(6장이면 피박입니다.) 이긴 모습입니다.(멍박 2배 적용.)

이 게임의 경우, 게임 아이템을 살 수 있는 상점도 있는데 모드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골드라는 것은 말 그대로 게임 아이템을 살 수 있는 유료 재화이며 게임 플레이 시 보상으로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캡처 당시 1+1 이벤트 중이었으나 저는 과금하지 않았습니다. 도전패의 경우 도전맞고에서 쓸 수 있는 패입니다.

도전맞고에서는 스톱 무르기, 들여다보기, 다시 돌리기를 살 수 있는데 상당히 비싼 것 같습니다. 하트의 경우 

'한판맞고'모드에서 좌측 상단에 뜨며, 1판당 하나의 하트가 소모됨을 알려 드립니다.(대개 하루 30개: 기본)

한판맞고의 상징인 캐릭터(철수씨, 영희씨는 기본입니다.) 상점이며, 유료로 구입할 수 있는 캐릭터들은 대개

뻑을 알려주거나 고도리 승리  시 점수를 더 준다던가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돌림판 및 기사회생의 찬스, 

한수 무르기, 다시치기, 쪽치기(보유한 패 2장 중 1장을 바닥패로 돌려서 쪽을 치는 것), 뒷패보기, 3피 뺏기,

대박 티켓(대박찬스와 중복적용 불가) 등 다양한 아이템을 골드로 구입할 수 있는 상점임을 알려 드립니다.

도전맞고 모드에서는 총통 시 패 하나를 보상으로 준다네요. 도전맞고의 그래픽입니다.

*3뻑 시에도 동일하게 도전패를 받을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별 3개 승리 시 골드 5개가 보상이네요.(대부분 별 하나로 끝납니다.) 보시면 빨간색 x표가 되어 있는데,

해당 스테이지에서 모아야 할 패가 상대에게 넘어갔거나, n턴 내로 7점을 못 내서 미션이 이미 실패한 것으로

포기하고 나가기를 눌러서 새로 시작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전략을 잘못 짜면 이런 상황이 꽤 나오더군요.

미션에 실패한 모습, 스테이지별로 각 미션에 성공한 다음 이겨야 그 스테이지를 성공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전국 부자 순위(상위 60%), 통산 전적(아직 상대의 레벨이 낮아서 그런 가 통산 승률이 많이 높습니다.)

돌림판의 경우 두 종류가 있는데, '대박'자가 들어간 돌림판의 보상이 훨씬 더 좋습니다. 일반 행운의 돌림판은

광고 시청 후 1시간에 1번씩 돌릴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이상으로 뉴 한판맞고 게임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