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의 원문은 https://blog.naver.com/newpark314/221827636566입니다.
[금융업계 용어] 서킷 브레이커(+사이드카), 상한가, 하한가
#서킷브레이커, #상한가, #하한가, #사이드카, #금융용어안녕하십니까? 갑자기 금융 용어인 '서킷브레...
blog.naver.com
*원문에서 일부 내용을 수정, 추가하였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갑자기 금융 용어인 '서킷브레이커'라는 단어를 가지고 포스팅하는 것이 너무 뜬금없지요?
저 입장에서 2020년 2월 27일 오전에 너무 당황스러운 일이 발생했는데, 이 일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단어가
바로 '서킷 브레이커'라 해당 단어를 선정해서 포스트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일단 관련 이미지부터 올립니다.
우선 '서킷 브레이커'라는 단어는 '서킷 브레이크'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시사상식사전에서는 주가가 갑자기
'급락'한 경우에만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한다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급등'했을때도 서킷브레이커가 걸립니다.
외부 충격, 갑작스러운 외부 이슈에 의해 비이성적으로 주가가 급격하게 변한 상장사의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것이라고 보면 될 듯 합니다. 그런데 이 '서킷 브레이커'를 제 블로그에서도 가끔씩 발동시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발동시키냐면, 위와 같이 평소에는 하루 조회수 10건도 안 되고, 심지어 0건까지 있는 포스트가
2월 27일 오전에만 1100건이 넘게 폭증했지요. 저는 이렇게 비 정상적으로 조회수가 올라간 포스트에 대해서는
'검색 비허용'조치를 최소 1시간부터 최대 12시간까지 적용하여, 급상승하는 조회수를 통제하고 있는데, 이것을
일종의 블로그판 서킷 브레이킹이 되겠습니다.(서킷 브레이크를 실시하는 저를 '서킷 브레이커'로 보시면 됩니다.)
해당 포스트는 2018년 5월에 작성한 '수도권 1호선 오류동역 투신 사고'에서 기관사의 트라우마가 담긴 사진이
이슈가 된 것을 담아낸 포스트로, 저는 개인적으로 자살 사고에 대해서는 명복을 빌어 주고, 반대로 철도 무단횡단
사고를 일으킨 사망자는 진짜 지옥으로 떨어져야 할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2020년 2월 27일에도 어떤 10대가
철도를 무단 통행하여 죽어버린 일이 있었습니다. 그 사고 때문에 '1호선 사고'라는 키워드로만 1000건 넘게
유입되어 제가 잠시 검색 비허용 처리를 했다가, 27일 오후 4시를 기점으로 다시 '검색 허용'조치를 한 것입니다.
현재 본인 블로그는 거의 매일 하한가를 치고 있습니다.(조회수가 평소에 비해 30~40% 적습니다.)
이렇게 조회수가 갑작스럽게 올라서 2월 27일 현재 압도적으로 조회수 1위를 찍었는데, 이런 상황을
'상한가를 쳤다.'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만 저는 이렇게 갑작스럽게 조회수가 올라가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해당 포스트는 애드포스트 수익을 상승시킬 수 있는 포스트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저의 블로그는 '버스 터미널 시간표'및 '교통수단 탑승기'를 주로 올리는 블로그라 이런 포스트가
주가 되어 조회수 1위가 되는 건 저의 블로그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또한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버스 터미널 시간표를 조회하시는 분들이 절반 이상 줄어든 상황임에도, 아침에
블로그 조회수를 보니 예전 수준으로 회복되어 당황스러웠는데 오류동역 사고 포스트가 조회수 1위를
달리고 있을 줄은 전혀 상상도 못 했었습니다. 아무쪼록 앞으로는 이렇게 서킷 브레이커를 발동시킬
일이 없길 바라면서 포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저의 블로그에 오시는 방문자님들께 감사합니다......
PS. 조회수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했던 문제의 포스트 URL - https://blog.naver.com/newpark314/221267606375
수도권 1호선 오류동역 투신사고에 대한 생각(+설문)
*본 사고는 2018년도에 일어난 사고로, 2019년에 일어난 문제와는 관련 없습니다.*2020년 2월 27일 오전에...
blog.naver.com
PS2. 사실 금융업계에서는 서킷 브레이커의 전 단계격으로 '사이드카'라는 것을 발동시킨다고 합니다.
이 사이드카라는 것은 선물(Gift 아님)시장 가격의 등락폭이 전일 종가(주식시장 종료 시 가격) 대비
5% 이상 변화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때 발동하는 것으로, 약 5분간 거래가 정지된다고 합니다.
'유가증권'은 油價증권이 아닙니다
*엄밀히 따지면 저의 블로그에서 하는 '검색 비허용'조치도 서킷브레이커보다는 사이드카에 가깝습니다.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는 별개의 용어인데, 시사상식사전 쪽에는 연계해서 설명하고 있음을 알립니다.
'기타 일상생활에서의 썰 > 그 외 잡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 마산합포구 월영동~가포신항 도로(가포신항터널) 개통 안내(3.20~) (0) | 2020.03.26 |
---|---|
[신조어] 랜선 XX, 방구석 XX, 갓수, 플렉스 해버렸지 뭐야(+싼게 비지떡?) (0) | 2020.03.23 |
[본인이 타 봤던 고속도로 시리즈 #5] 영동고속도로(광주원주고속도로, 제2영동고속도로 포함) (0) | 2020.03.22 |
네이버 블로그에 했던 유로트럭 시뮬레이터 2,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 포스트(URL만 올립니다.) (0) | 2020.03.19 |
[모바일게임]뉴 한판맞고(+맞고 용어 몇 가지 소개) (0) | 2020.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