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화개터미널(화개공영버스터미널) 시간표 - 19년 7월 촬영분

반응형
728x170

(원문에서 화개장터 파트를 제외하였으며 일부 내용을 약간 바꾸었습니다.)

*이 터미널의 경우 2019년 12월 말에 시간표가 대폭 변경된 이력이 있습니다. 변경하기 어려운 점 죄송합니다.

(최신 버전은 http://www.hadong.go.kr/specialty/00218/00445.web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의신행 막차 1시간 연장 실화인가, 다압행은 청소년 카드 등록을 하셔야 할인됩니다.

해당 사이트에 있는 임시 시간표입니다. 노선 문의는 위 이미지에 있는 번호로 해 주세요.

728x90

 

*화개터미널의 경우 화개장터 근처에 있는 버스 터미널입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사실 화개터미널

같은 경우, 진주/하동/광양/구례의 4개 지자체 버스가 들어오는 말 그대로 버스판 화개장터 되겠습니다. 

화개터미널의 명칭은 '화개공영버스터미널'로 '화개시외버스터미널'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승차홈은 총 2개이며, 원칙상 버스 외 차량 출입금지지만 가끔 상가 관계자의 차가 드나들기도 합니다.

*화개장터와는 화개교라는 다리를 건너 도보로 약 3분가량 떨어져 있다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멀리서 본 터미널의 모습입니다. 사실 작년까지만 해도 간판에 '공영'자가 없었다고도 하지요.

이 터미널의 시간표입니다. (*명절 기간 및 기상 악화시에는 버스가 대폭 감차되는 점 양해 바랍니다!!!!!)

인접해 있는 쌍계사부터 구례행(일부 차량은 화엄사 입구까지 운행.), 악양/하동행, 서울행, 

다압/하동행 있습니다. 쌍계사 입구나 구례 터미널의 경우, 차에 타시면 20분 내로 접근 가능하고요.

신흥이나 의신은 쌍계사 이후로 더 들어가는 구간이기 때문에, 요금이 1500원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터미널의 버스 요금은 매표소에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알려 드릴 듯 합니다. 요금표를 찾아 봐도 보이지를

않더군요...... 아, 쌍계사/신흥행 버스 중 하루 7번은 전라남도 업체인 '구례여객'버스가 들어오는데,

이 버스는 기본요금이 1300원입니다. 따라서, 같은 목적지라도, 어떤 버스를 타느냐에 따라 요금이 달라질 수

있다는 소리겠죠? 이어서, 구례행 같은 경우 완행이라고 뜬 시간대는 2000원, 직행이라고 뜬 시간대는 200원

더 비싼 2200원입니다. 구례행의 중/고등학생 완행 요금은 1600원, 직행은 1800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원래 2019년 2월까지는 완행 버스와 직행 버스의 요금이 같았었으나(시외버스 국도요금과 농어촌버스 요금이

같았으므로......) 둘 중 직행이었던 시외버스만 3월부터 요금이 인상되면서, 요금이 달라지게 되었습니다.

구례 직행의 경우 대부분의 차량이 화엄사까지 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어서 하동행 같은 경우 일부 차량은

진주나 부산사상까지 가기 때문에, 많은 이용 바랍니다. 하동행의 경우 요금이 동영상을 보시면 나올 겁니다.

하동까지는 어떤 버스를 타느냐에 따라 소요시간도 달라지니, 주의 바랍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터미널을

종점으로 삼는 노선이 전라남도 광양교통에서 운영하는 오른쪽 하단의 '다압/하동행'밖에 없습니다......

아, 하동 방면 20시 차는 하동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광양으로 내지르는 차입니다.(기사님 퇴근 코스입니다.)

*20시 차는 광양까지 2200원을 받을 겁니다. 광양시 모 검문소 정류장에서 내리면 하동으로 걸어가실 수 있지요.

*참고로 2019년 10월부터 '하동버스'라는 회사의 버스는 쌍계사나 하동터미널까지 1250원만 내시면 됩니다.

반응형

서울행 같은 경우 월~금요일에는 하루 11회, 토~일요일에는 하루 12회가 운행됩니다.

이 수치는 5~6년 전에 비해 1.5배나 증차된 수치라고 보시면 되며, 우등은 28500원, 일반은 22400원이네요.

아, 하동-서울선의 경우 상행인 서울행의 경우 터미널별로 예매 가능한 자리가 정해져 있습니다. 예를 하나

들어 드리자면, 우등버스의 3번 좌석은 여기 화개터미널에서만 예매가 가능한 방식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구식 예매시스템 되게 싫어합니다만, 시골 어르신들을 위해서라도 좌석을 정해 놓는 것은 필요할 듯 

합니다. 소위 '좌석 TO를 정해 놓는다'라고 표현하는데, 여기 화개에서는 28석 중 4자리밖에 배정 안 합니다.

3, 6, 10, 11번석만 배정하기 때문에, 단체 승객께서는 하동이나 구례로 가셔서 버스를 타시면 되겠습니다.

버스 표는 기차표와 다르게 민간 회사에서 발권하는 표이기 때문에, 하동에서 끊은 표를 가지고,

여기 화개에서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따라서 출발지를 '화개공용'으로 하시고 예약하시면 됩니다.

철도 승차권은 목적지만 같다면, 승차권 상 출발역보다 요금이 더 저렴한 중간 지점에서 이용하셔도 되지만

버스 승차권은 이런 행위가 불가능하다는 이야깁니다. 다만, 이 터미널의 매표소 직원분이 하동이나 구례에 

전화해서 '빈 자리 좀 남겨 주소!'를 한 다음 현금 결제를 해서 3, 6, 10, 11번이 아닌 다른 좌석을 끊을 수도 

있긴 할 겁니다. 재차 강조하지만, 저는 이런 식의 좌석 TO배정 예매 시스템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터미널은 중국집, 마트, 유기농 식품상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운데 마트 쪽으로 들어가면 매표소 나옵니다.

분명히 영남지역 터미널인데 들어와 있는 버스 2대는 모두 호남 버스인 것이 특징으로,

말 그대로 버스판 화개장터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장면을 찍는 게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다네요.

(제가 확인한 시간대는 이 11시 45분쯤과 오후 5시 55분쯤에 찍기가 가능한 것으로 나오더군요.) 

하나는 '광양교통'의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CNG' 차량입니다. 이 차량의 목적지는 놀랍게도 하동입니다.

섬진강의 서쪽인 '광양시 다압면'을 달리는 노선으로 섬진강 매화마을을 찍고 하동으로 들어가는 노선입니다.

300x250

요금표입니다. 현금 기준 성인 1500원, 중/고등학생 1150원, 초등생 750원이네요.

여기서 '교통카드 이용 시 100원 할인'이라는 표현이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의미는 '100원만 할인해 준다.'라는 것이고 두 번째 의미는 '100원으로 인하해 준다.'인데,

'요즘 21세기에 어떤 지자체가 버스 요금이 100원입니까?' 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초/중/고등학생에게

100원만 받는 지자체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호남 지역에 꽤 있습니다. 누군가는 이게 '포퓰리즘'이니

뭐니라고 하지만 학생을 키우는 학부모님 입장에서는 '와~내가 낸 세금이 이런 데 쓰이네?'하는 자부심도

있을 것이고, 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 입장에서는 '와~본전이다.'라고 할 듯 합니다. 물론 성인에게는 

100원 할인된 1400원이 교통카드 요금입니다. 따라서, 하동 읍내에 있는 학교를 다니는 중/고등학생들은

교통카드로 100원이면 이 빨간버스를 타실 수 있겠죠?(아침 6시 50분 차 타시면 됩니다.) 또한, 하동군으로

싸게 가고싶다 하시는 초등학생이나 학부모님들도 이 빨간버스를 타시면 타 버스보다 저렴합니다. 학생 

버스요금이 100원이 곳은 이 광양버스 말고도 순천/여수/부안 버스가 있는데, 부안군 버스는 카드가 아닌

현금승차가 100원이고, 카드승차요금은 50원인 전국 최저 요금(초/중/고생)을 자랑하고 있다고 하네요.

위 이미지를 보시면 '화개'를 '회계(......)'로 표기해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회계장터"인가요????

이 버스는 구례까지 2000원(중/고등학생 1600원, 초등학생 1000원)을 받는 대우 NEW BS090 버스입니다.

*회사명이 무려 7글자인데, 보통 '--여객'까지만 표기하던데 여기는 '운수사'까지의 풀 네임 전부 표기하네요.

섬진강과 주변 산세. 섬진강에서 나오는 재첩국, 은어튀김 등의 음식이 유명하다고 합니다.

한 폭의 그림같은 모습입니다. 쌍계사 쪽을 바라보고 찍었습니다. 화개터미널 많은 이용 바랍니다.

이 버스는 '부산교통'의 서울발 하동행 차량으로 서울 출발 4시간 7분여만에 '악양'을 지나는 모습입니다.

사실 이 터미널이 화개장터 뿐만 아니라 지리산 등산 코스(쌍계사)로도 많이 이용된다고 하네요.

이상으로 이 포스트를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트는 경북의 '봉화'터미널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