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일상생활에서의 썰/그 외 잡썰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미국 정권교체 축하합니다(미국 대통령 선거 제도에 대한 생각)

반응형
728x170

*원문 - blog.naver.com/newpark314/memo/222135228091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미국 정권교체 축하합니다(미국 대통령 선거 제도에 대한 생각)

​역대 미국에서 4년만에 정권이 바뀐 케이스가 거~의 없었는데 이번에 트럼프가 코로나19에 도대체어떻...

blog.naver.com

*원문의 반말투를 높임으로 수정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십니까? 2020년 11월 초에 미국에서 대통령 선거라는 빅 이벤트가 있었지요. 현재 조 바이든 후보가

선거인단 과반을 넘겨 사실상 결과가 나온 상태입니다. 역대 미국에서 4년만에 정권이 바뀐 케이스가 거~의

없었는데 이번에 도널드 트럼프가 코로나19에 도대체 어떻게 대응했는지 반영되어 본투표 개표에서는 거의

트럼프가 이길 것처럼 하더니 사전투표(우편, 재외 포함)에서 엄청난 스코어 차이로  조지아,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초반에 트럼프가 이기던 상황을 후반 와서 뒤집는 기적을 보였습니다. 비록 조 바이든 후보의 당선으로

환율이 크게 떨어져 본 블로그 입장에서는 매우 손해이긴 합니다만, 이 결과는 미국 민심의 승리라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미국 대통령 선거제도의 경우 스포츠, 특히 야구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야구 경기를

보면 안타 많이 친다고 팀이 이기는 것이 절대 아닌 것처럼,(안타를 단 1개 치고 이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민

투표가 많다고 해서 이길 수 없는 게 미국 대선인 것입니다. 다만 이번 대선은 바이든 후보가 국민 전체 득표율도

거의 51% 가까이 되는 상황, 500만 표차 이상이라고 하지요. 미국이 사실은 미합'중국'(연방국가)이라 주별로

이긴 후보에게 몰빵을 해 주는 구조인데, 개인적으로는 전 국민통합 득표율로 선거인단을 배분해서 1~2%를

득표한 소수정당 후보에게도 표를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미국의 경우 양당제긴 하지만 우리나라 정의당,

열린민주당처럼 지지율이 낮은 소수정당이 분명이 있기 때문이고 이러한 당 소속 의원이 상/하원에 분명히

있기 때문입니다.(미국은 사회당, 녹색당 등이더군요.). 예를 들어 득표율 1%당 5명의 선거인단을 배분하면 이번

선거에서는 약 15명 차이로 바이든이 근소하게 이기게 되는 것이고 소수 정당에도 5~6명 정도의 선거인단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나 이번 대통령 선거 결과를 가지고 보수(수꼴) 단체 유튜버들이 우리나라 총선처럼 '부정선거다,

투표용지 중국산이라 조작일 것이다.'이 **을 하던데 단순히 두 후보들의 득표 수 차이만 보면 그럴 가능성도 없진

않겠으나 결과가 일부 번복되더라도 선거인단 수 70명 차이를 뒤집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며, 캘리포니아 55석을

널널하게 확보한 덕분에 결과는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앞으로 4년 동안 바이든 행정부의 미국이 세계의 대표

국가로 잘 나가길 바랍니다. 사실 원문에는 바이든이 고령이라 재선이 힘들 것으로 썼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상원 시절 존경헀던 김대중 전 대통령의 경우 바이든보다 더 고령의 나이에 대한민국의 대통령 임기를 무사히

마치셨던 분이라 정책 추진력, 지지도에 따라서 8년 채울 수도 있을 듯 합니다. 또한 이번 선거로 미국 최초

흑인, 여성 부통령이 탄생했다고 하는데 해리스 부통령님의 정책도 많이 기대됩니다. 세계 평화가 이번 대선으로

더욱 진전되었으면 좋겠고 코로나19 시국도 빨리 끝났으면 좋겠습니다. 관련 이미지 하나 올려 드리겠습니다.

이미지는 구글 검색-AP에서 캡처한 것입니다. 주 단위로 봐도 미국 전체의 절반 이상의 주를 차지했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님 당선과 정권 교체를 축하드립니다.(임기는 2021년 1월 말부터 시작합니다.)

*참고로 본인 주변에 있던 사람들 보면 트럼프 지지자 정말 많았는데 이렇게 된 것 유감이긴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