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우선 저는 강원도 춘천시와 아무 연고도 없고, 춘천에서 약 400km 넘게 떨어진 곳에 거주하는 사람입니다만
최근 춘천시의 시내버스 이슈에 대해 많은 관심이 생겨서 알아 보았고, 알아본 것에 대한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의
작성이 끝나고 티스토리까지 올라가는 시점은 아마도 춘천시의 버스가 대 개편되는 첫 날일 것 같아서 상당히 설레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춘천시 시내버스의 경우 재작년쯤부터 경영 악화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었고, 작년 하반기에 시민 단체인
'춘천 녹색시민협동조합' 이라는 단체에 인수가 되어, 전국 최초로 '협동조합'에서 경영하는 형태가 되었다고 하며, 버스
업체명은 '춘천시민버스'라고 합니다. 옛날 이름은 '대동대한운수'라고 했지요. 사실 협동조합 식으로 버스 회사를 경영하려는
시도는 다른 지자체의 모 버스업체에도 1번 있었는데 직원들의 반대로 실패한 일이 있었긴 합니다. 앞으로 이 시민버스
협동조합 체계의 성공을 바라며 관련 이미지들을 올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하 자료들은 모두 춘천시민버스
사이트,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 홈페이지에서 발췌했음을 알립니다. *이미지 하단에 관련 멘트를 작성하겠습니다.
위 사이트는 춘천시민버스의 홈 페이지( http://www.ccbus.co.kr/ )의 메인 화면입니다.버스 매니아님들은
이 회사의 명칭를 '춘시스'라고도 하던데 경기도의 '성남시내버스'라는 업체를 '성시스'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단, '성남시민버스'라는 회사는 마을버스만 취급하는 회사로, 성시스라는 명칭을 쓰지 않더군요.)
보시면 정류소나 노선 검색을 하면 춘천시 버스정보시스템 쪽으로 연결됩니다. 고객센터에 문의사항을 적으면
꽤 빠른 속도로 답변이 오더군요.(제가 문의한 건 없습니다.) 개편되면 친절/불친절 섹션에도 글이 올라오겠지요?
춘천 지역의 시내버스들을 보면 90~95% 정도가 현대 뉴슈퍼에어로시티 계열이고 나머지가 대우 BS 계열입니다.
보시면 도색도 기존 진한 파란색 떡칠 도색에서 위와 같이 연한 파란색 도색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는데, 앞에 있는
로고는 X자인지 V자인지 살짝 애매하네요. '춘천시민버스'라는 폰트는 예쁘고 좋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버스의
측면에 제주도나 김해지역처럼 노선과 운행 경로가 간단하게 적힐 예정입니다. 보면 X자 부분이 노란색으로
칠해진 차는 시내 간선버스 4개 노선, X자 부분이 흰색인 노선은 시내 지선노선에 투입될 차량이라고 합니다.
홈-페이지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사이트도 운영되고 있더군요. 그럼 이미지 계속 올려 드리겠습니다.
공지 사항입니다. 전화 문의는 위에 있는 번호로 하시면 될 듯 합니다. *조만간 전기 버스도 투입될 듯 하네요.
*춘천 하면 닭갈비, 막국수 등의 음식이 유명하고 "김유정"이라는 소설가님도 매우 친숙하다고 합니다.
*또한 이 춘천이라는 도시는 (의외로) 전국에서 저상버스의 보급률이 가장 높은 도시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저상버스의 대당 가격이 계단 있는 일반 버스의 1.5배 이상 나가기 때문에 전체 차량 증차가 힘들어진 것이지요.]
즉, 저상버스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것 때문에 지자체나, 버스업체가 새 버스를 구입하기 힘들어졌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춘천같은 경우에도 실시간 버스정보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으며, 정류장 코드만 알면 ARS 문의도 가능합니다.
문의 사항은 위 번호로 하시면 됩니다. 무료 환승 가능시간은 40분으로 짧지는 않은 편입니다.
캐시비, 마이비, 티머니, 레일플러스 선불카드가 지원되고 다양한 브랜드의 후불교통카드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현금 요금은 1400원지만 카드 요금은 무려 150원을 깎아 주어서 1250원입니다.(제가 사는 곳과 같습니다.)
위 사이트는 춘천시민버스를 소유한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 사이트입니다. ( http://green.appcorea.com/ )
이 사이트에서도 버스 노선 정보를 알 수 있고, 버스에 대한 의견 개진도 가능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제목에 적었던 춘천 간선버스 노선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료의 출처는 춘천시 쪽에서 제공한 브로슈어입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노선을 보시면 기존에 있던 노선들을 싹~ 변경하였다고 합니다. 2년 전에 제주도 지역에서 했던 개편을 참고했다고
하네요. 시내 간선 4개 노선, 시내 지선 14개 노선, 읍면 마을버스 30개 노선으로 운영되며, 시내 노선은 대형 버스로,
읍면 노선은 소형 버스로 운영되며 읍면같은 경우 2년 한정면허라고 합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시내 간선노선 4개만
언급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원래 기존에는 춘천의 핵심 도로인 중앙로 쪽에 전체 노선의 93%가 지나갔다고 하는데
이 개편으로 이 비율을 절반 이하로 낮춰 놓았으며, 시내-시 외곽 간 환승센터도 잘 구축해 놓았다고 합니다......
외지인 입장에서 몇몇 노선들의 선형을 보면 지선인데 간선같고 간선인데 지선같은 그런 경우가 보입니다.
위 지도에서 '후평동종점'이라는 곳은 포털사이트에 '대동대한운수'의 차고지 쪽 정류장으로 추정됩니다.
이 노선은 방향별 순환버스로(개인적으로는 기점 출발은 101번, 종점 출발은 102번으로 했으면 하네요.)
출발 시간도 보시면 기점 출발과 종점 출발 버스가 5분 정도의 차이를 두고 출발하는 있는 상황입니다.
인구 28만 명의 도시에서 하루 56회면 운행 횟수가 상당히 많다고 보여지며 아침 출근시간대는 배차 간격이
15분인 시간대도 보이네요. 보시면 기점발 차량은 호반환승센터부터 먼저 경유한 후 춘천역-온의사거리를
거쳐 남춘천역→퇴계환승센터→강원대 동문을 거쳐서 후평환승센터-동광오거리를 찍고 종점으로 오는 코스이고,
종점 출발 차는 후평동 종점을 출발하여 후평환승센터부터 먼저 찍고 강원대→퇴계환승센터→남춘천역을 거쳐
호반환승센터를 거친 후 정부합동청사를 거의 마지막으로 경유하고 돌아오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중간 지점인
남춘천역에서 후평동 종점을 가고자 하시는 경우 어느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타더라도 비슷한 시간이 걸린다는
뜻입니다. 100번 버스 많은 이용 바랍니다.(퇴계환승센터-춘천역육교 구간은 경춘선과 선형이 비슷해 보입니다.)
100번과 비슷하게 후평동에서 출발하는 200번 노선은 기점 출발 차량의 경우 도민일보와 남춘천역환승센터를
먼저 경유한 후 퇴계환승센터를 거쳐 경찰청으로 가는 구조이고 종점 출발 차량은 반대로 후평환승센터와 경찰청을
먼저 찍고 퇴계환승센터, 남춘천역환승센터로 가는 구조로 운행되고 있음을 알립니다. 퇴계에서 후평동까지는
어느 방향에서 타셔도 비슷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운행 횟수는 100번보다 약간 많으며, 아침 시간대에는 남춘천역
방향 한정으로 S버스라고 하는 학교 통학버스가 2회 운행되는데 이 시간대는 노선이 약간 달라진다고 합니다.
300번 노선같은 경우 춘천역에서 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구조이며, 남춘천역 종점 정류장을 경유한 후
KT&G 정류장 쪽으로 편도로 1바퀴 돌아서 나오는 구조입니다. 이 노선은 한림대와 강원대를 경유하는데,
일명 '청춘 노선'이라고 해서 강원대학교 캠퍼스 내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보시면
강원대 후문부터 강원대 정문까지 4개 정류장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강원대와 거의 동시에
충북대 쪽도 캠퍼스 내부를 관통하는 노선이 생겼다고 합니다.(이 노선보다 6일 빨리 생겼습니다.)
원래 브로슈어의 바탕은 회색이었는데 자동보정을 하니 보라색 또는 파란색으로 바뀌고, 노선색도 주황색 계통으로
바뀌어 보기가 더 좋아졌습니다. 400번 노선같은 경우 간선 치고는 운행 횟수가 적으나 선형이 거의 직선에 가까운
구간이 많이 있습니다.(사실 400번보다 운행 횟수가 많은 시내 지선노선이 존재합니다.) 춘천 북쪽의 샘밭장터에서
출발하여 춘천여고 쪽으로 내려와서 퇴계주공→홈플러스→시외터미널→남춘천역→퇴계환승센터 쪽으로 편도
순환하는 노선입니다. 사실 저같은 경우 춘천에 갈 일이 없기 때문에 해당 버스의 사진을 찍기는 힘들 듯 합니다.
(향후, 전기 버스가 들어오는 시점에 올라가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춘천시 버스정보 홈-페이지에서 캡처한(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4개 간선노선의 시간표입니다.
첫차는 저의 생각보다 늦은 아침 6시에 운행을 시작하며 막차는 그래도 밤늦은 22시 넘어서도 운행되네요.
배차 간격도 15~20분(400번은 25~30분)으로 괜찮은 간격을 보여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시간표는
기점/종점 출발 기준(100번과 200번은 노선의 순환 방향에 따라 기점/종점 출발이 달라지는 것임.)이기
때문에 중간 경유지에서 타는 경우 위 이미지보다 첫차/막차가 늦겠지요? 이 경우 ARS 등으로 확인 바랍니다.
춘천 녹색시민협동조합에서 캡처한 춘천 시내지선버스 14개 노선의 전체적인 선형입니다.
11, 12번은 소양강댐으로 올라가는 노선이기 때문에 춘천역에 내려서 버스를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12번의 경우 위 이미지에 나온 경로와 약간 다르게 운행된다고 하는 점 유의 바랍니다......)
10번 노선은 순환 노선으로, 방향별로 5분 간격으로 나눠 출발합니다.(같은 방향 배차간격은 30분 정도.)
이런 식의 순환 노선은 방향별로 번호를 다르게 주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보여지네요. 이 노선들은 대부분 주거지 근처로
형성된 노선들 같습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문제가 있다면, 당장 올해 내로 음영 지역에도 노선이 추가되었으면 합니다.
저같이 아직 젊은(?) 외지 관광객 입장에서는 목적지로 가는 버스 정류장까지 1~2km정도는 걸어가도 뭐 상관이 없습니다만
현지 어르신분들이나 매일 이동하셔야 하는 아파트 주민분들이 이 거리를 걸어가기에는 힘든 측면이 너무 많이 있습니다.
(아마 현장 관계자님들도 이 글을 보실텐데 버스가 들어가지 않는 음영 지역 주민분들도 최대한 빨리 배려해 주었으면 합니다.)
*특히 명동(중앙시장) 노선의 경우 기존에 있던 노선이 선형은 거의 그대로에 노선 번호만 바뀐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예시로 예전 7, 33, 64번은 지금 02번, 03번으로 어느 정도 커버가 된다고는 하는데 추가적인 증차가 필요할 듯 합니다.)
마을버스 노선 중 몇몇 노선은 '코리아나고속관광'에서 운영하고 있음을 알립니다.
*마을버스의 경우, 춘천 말고 타 지자체에서도 재정 지원 등의 문제로 준공영제에서 제외한 경우가 많음을 알립니다.
(보통 한정면허로 굴리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김유정역 근처로 가는 버스도 있습니다.
이어서 읍면 마을버스 노선들 나머지 14개입니다. 기점의 동네 이름+노선번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든 노선이
중앙시장 환승센터로 모이게 배차했으며 시 외곽 주민들이 편리하게 시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중앙시장 환승센터 근처에 '명동 닭갈비 골목'이 있다고 하네요.(이 글은, 외지 관광객 입장에서 서술한 내용입니다.)
마을버스의 시간표는 http://www.chbis.kr/busIntroChun.do?prmDistrict=1 에서 확인 바랍니다.
(기존에는 춘천 버스가 홍천에도 들어갔다고 하는데, 이제는 홍천 쪽으로는 안 간다고 합니다.)
-이 부분도 춘천/홍천 두 지자체가 협력해서 개선해 주었으면 하네요. *막차 시간 관련해서
일부 노선의 막차 시간이 19시에서 21~22시로 연장되었음을 알립니다.(ex. 신북면, 동면, 동산면 등)
춘천 시내버스 개편의 성공적 정착을 바라면서 포스트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블로그 방문자님들께 감사합니다.
PS. 춘천 지역 7개 환승센터의 정류장 코드가 담긴 브로슈어 이미지입니다.
모든 읍면지선(마을버스)는 중앙시장환승센터로 모았다고 하네요. 정류장 코드 4자리도 참고 바랍니다.
(반대로, 모든 시내간선버스는 남춘천역 환승센터에 전부 모이게 해 놓았네요. 많은 이용 바랍니다.)
PS2. 제가 사는 지역도 2020년 말쯤에 대 개편을 한다고 하는데 서비스가 더 좋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배차 간격 문제는 제가 사는 지역도 겪고 있는 문제라(다만 버스 이용객이 별로 없긴 함.) 동질감까지 느껴집니다.)
PS3. 저와 같은 대중교통 동호인들 사이에서도 이 개편의 평가가 크게 엇갈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춘천의 롤 모델인 제주도같은 경우 개편 이전에 200대 넘는 차량을 증차시킨 후 대 개편을 했고,(그래서
제주도 버스의 상당수가 2017년식임.) 제주도민 한정이지만 71세 이상에 대해서는 어르신 무임승차 혜택도
(제주은행 계좌 보유자 한정.) 주고 있기 때문에 개편에 대한 저항 민심 무마가 어느 정도 가능했지만(그래도
2년 전 당시에 노선 없어졌다는 민원 많았습니다.) 춘천은 마을버스 쪽에만 증차가 됐고 시내 지역은 감차됐다는
이야기도 돌고 있기 때문에 저항심리가 더 많이 나올 수밖에 없을 듯 합니다. 이 부분은 현 근로제도 탓도
어느 정도는 할 수밖에 없고, 내년에 운전 인력 채용 및 차량 증차가 이루어져야 개선될 듯 합니다......
ps4. 일단 급한대로 읍면 마을버스 몇몇 노선의 경로가 수정된 듯 합니다.(환승센터 → 명동 정류장)
ps5. 제가 본 이 개편이 문제가 많은 원인은 '중간이 없이 너무 극단적으로 바꿨다.'는 것입니다.
중간이 없다는 말은, 원래 시내버스라는 게 11m짜리도 있고 9m짜리도 있고 7m짜리 이렇게 3종류가 있는데,
중간 길이인 9m짜리 버스 도입 없이 11m(시내) 아니면 7m(읍면) 짜리 버스만 도입을 해서 수요가 애매한 지역에서는
7m짜리를 투입하자니 사람이 너무 많아지고, 11m짜리를 투입하자니 너무 한산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요. 특히 군(軍)
관련 사항 때문에 그러합니다. 춘천의 개편 롤 모델이 되었던 제주도의 경우 9m짜리 버스가 꽤 많이 있습니다.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의정부터미널) 시간표, 요금 정보 - 191101 (0) | 2019.11.16 |
---|---|
경원선 통근열차 운행중지 대체 셔틀버스 시간표(동두천역 기준) +선진고속관광 버스들 (0) | 2019.11.16 |
제주 지역 시내버스 체계(노선/요금 등) (0) | 2019.11.12 |
부산 1006번/ 1011번 급행버스 소개 (0) | 2019.11.11 |
부산 61번, 161번 버스(사하구/서구 ↔ 사상구) - 영신여객 (0) | 2019.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