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창녕군 부곡시외버스터미널(부곡온천 근처 버스터미널) 시간표, 요금, 승차홈 정보

반응형
728x170

*첫 사진 위에 글을 쓰면 pc버전에서 클릭이 안 되는 버그가 있어서 부득이하게 소개 글을 밑으로 내렸습니다.

*본 포스트의 원본은 https://newpark314.blog.me/221364513585 입니다만,  여기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는

내용의 상당 부분이 수정되어 올라갈 예정입니다.(사진 엑박 뜨는 경우 네이버로 가셔서 보시면 되겠습니다.)

*원본 사진 촬영은 2018년에 했으나, 시간표는 2019년 최신 수정분까지 반영하였음을 알려 드립니다.

*부곡온천의 활성화 및 부곡하와이 재개장을 기원하면서 포스트를 시작하겠습니다.

*2022년 말 기준 임시 시간표 올려 드리겠습니다. (생각보다 운행 노선이 많았으나 횟수는 적습니다.)

2023년 추가 수정 반영했습니다.

728x90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경남 창녕군의 동남쪽에 있는 '부곡시외버스터미널'의 시간표입니다. 원래 제가 여기

부곡에 오고 싶긴 했습니다만 이번 촬영은 제가 원해서 한 게 아님을 알립니다. 제가 원래 김해 장유 지역에 거주 중이라

부산 사상터미널에서 장유로 가는 버스를 20번 홈에서 탔어야 하는데 19번 홈에서 탔던 역대급 뻘짓을 저지른 바람에

부곡으로 가게 된 것이지요. 사실 저는 버스에 올라탔을 때만 해도 당연히 장유로 가는 차인줄 알고 옆에 들어온 차가

다른 회사의 버스인 줄 알았습니다. 쉽게말해서 그냥 귀신한테 홀린 것이지요. 고속도로를 타고 장유ic를 지나쳤을 때

'이거 납치 아닌가?'까지 생각했으나 진례를 지나서야 비로소 본인이 버스를 잘못 탔음을 깨닫고 '부곡터미널이나 촬영하자'는

생각을 한 것입니다. 물론 버스비는 제대로 냈습니다. *이 때의 영향이 있었는지 지금은 아시다시피 사상-부곡온천행 버스 노선

10회 중 5회가 장유를 거치게 되었습니다. *그럼 바로 시간표 사진들을 올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바꾼 흔적이 상당히 많음.

위 사진은 부곡버스터미널의 정문 출입구(전형적인 시골틱 건물입니다. 우측에 중소규모 마트는 별개의 건물입니다.)

승차홈은 무려 6개씩이나 있습니다. (타는 곳별 행선지는 아래에 언급해 드리겠습니다.)

주소는 경남 창녕군 원앙로 199입니다. *전국 최고 수온의 부곡유황온천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버스 시간표 나갑니다. 부산사상(장유?), 대구서부, 창녕, 밀양, 김해, 수산(+진영), 서울남부 노선이 있습니다.

부산사상행이 가장 많은 10회를 운행 중입니다. 원래는 마산행이 15회로 1위였는데 10회로 줄었고, 이후 

사상행도 줄어서 배차횟수 공동 1위가 됐습니다.(이 곳보다는 영산정류소에서 많은 사람들이 타더군요.)

또한 부산, 대구행도 한 때는 일 14회 운행이었는데 현재는 일 10회밖에 운행하지 않으며 대구행 10회 중 8회는

김해에서 출발 차량으로 도착 시간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나머지 2회만 부곡에서 출발] 반대 방향인 김해행도

대구서부 출발 차량이고 창녕, 영산을 순서대로 경유해야 하기 때문에 도로가 막히면 운행 시간이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원래 대구서부행의 경우 대부분 창녕을 경유하지 않았었는데 한 2달 전쯤에

운행 시간표가 바뀌면서 경유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터미널에서 창녕을 가시는 경우 하루 

15회 정도 운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단, 16:15는 2대 동시 출발함.) 수산행의 막차만 진영 갑니다.

*대구행의 경우, 명리와 계성에 정차하지 않고 영산-창녕 구간을 고속도로 타는 직행버스입니다.

*2018년 12월 31일부터 마산행이 업체의 사정으로 인해 12회에서 '8회'로 대폭 감차되었음을 알립니다.

시간표 하나 더 나갑니다. 대구서부행이나 김해행의 경우 특정 시간대에는 2시간 이상 벌어지는 시간이

있으니 이용에 매우 큰 주의를 바랍니다. '서울'은 서울남부터미널을 의미하는 데 우등 4회, 일반 1회가

운행 중입니다. 우등과 일반 시간대의 요금표를 모두 반영해 놓았습니다. 장유행 요금도 반영되어 있네요.

이 터미널의 경우 김해여객(점유율 1위), 천일/고려여객(점유율 2위), 밀성여객만 들어오고 있습니다.

*매우 충격적인 사실이 하나 있는데, 부산사상행 버스 10회 중 5회는 '김해시 장유 무계농협'을 경유하는

차량입니다. 즉, 기존에는 없었던 장유행이 새로 신설된 것인데, 요금은 위에 입력해 놓았습니다.

(김해행의 빈 시간대에 장유행 타시면, 장유에서 김해시내버스로 연계 이용 가능합니다.)

*사상행 중 절반은, 마산행과 같은 시간대에 출발하므로, 승차홈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장유행의 경우는 부곡온천의 숙박시설을 이용 후, 아침에 출발할 수 있도록 시간이 짜여져 있네요.

*2018년 11월 말쯤에 서울남부행의 우등, 일반 배차시간이 변경된 점을 알려 드립니다.

요금표입니다. 사상 7900원, 대구서부 6100원, 마산 4300원, 창녕 2500원, 밀양 3000원, 김해 5700원,

수산 1900원, 서울남부 일반 26200원(우등 32800원)이고 마지막으로 영산은 기본요금인 1500원입니다.

*어린이(유, 초등생)는 50%가 할인되는데 2500원의 할인가는 '1300원'임을 알립니다.

*중, 고등학생은 20% 할인인 것 다들 아시죠?(예를 들어 대구서부행 중학생요금은 4900원이 됩니다.)

*대구서부행의 요금이 예상보다 크게 오른 이유는 창녕을 경유하면서 운행거리가 길어졌기 때문입니다.

*서울, 대구, 김해행 예매는 https://www.bustago.or.kr/newweb/kr/index.do 에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촬영일이 명절 연휴라 그런가 서울남부행 한정으로 임시 버스가 많이 투입되고 있었습니다......

*사실 대구서부행과 김해행은 2018년 9월 10일부터 횟수가 줄었다는데 이 터미널에 와서야 알았습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제가 예전에 했던 김해터미널 시간표가 바뀐 것을 이 곳에서 알았다는 이야기입니다.)

SMALL

 

이 터미널의 승차홈입니다. 영산이나 창녕, 창원 북면온천(......)행의 경우 터미널 근처 부곡하와이

인근에 있는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타시면 되는데 정확한 탑승 장소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위 이미지는 북면온천행(일 3회), 아래 이미지는 영산-창녕행(일 10회)입니다.

출처는 http://www.cng.go.kr/tour/map/00001465.web 입니다. 

 

창녕 방면은 창녕군 농어촌버스(영신)도 있는데, 이 터미널이 아닌 다른 곳에서 타며, 추천하지는 않겠습니다.

제가 사상에서부터 본의아니게 타고 온(......)김해여객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 45인승 차량입니다.

부곡온천 르네상스관인데 귀찮아서 들어가 보지는 않았습니다.

부곡하와이 사진(주변 주차장까지 폐쇄되어 있었습니다.)

출입구가 펜스로 막힌 리조트 사진(*다만 부곡온천지구의 호텔들은 정상 영업 중입니다.)

주변 지도입니다. *소싸움 경기장도 있습니다.

지도의 범례입니다.

300x250

부곡에서 5~7분 정도면 올라오는 천일여객 영산정류소(영산터미널)입니다.

이상으로 부곡버스터미널 포스트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즐거운 부곡 관광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s. 부곡하와이의 재개장 시기는 저도 알 수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