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트의 원문은 https://newpark314.blog.me/221748269569 입니다.(원문 내용에서 약간 수정하였습니다.)
*고양행 폐지 반영하였습니다. *신종 코로나로 인해 일부 노선은 감차되었을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전남 여수시의 메인 버스터미널인 '여수종합버스터미널'의 시간표와 요금 정보를
올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수 같은 경우 갓김치, 쑥 등으로 유명한 지자체임을 알리고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여수시외버스터미널이라는 표기도 제목에 병기하였습니다. *이미지 하단에 관련 멘트를 입력하겠습니다.
여수종합버스터미널(여수시외버스터미널)의 출입문. 요즘 버스 시간표를 올려 주시는 많은 분들께서 코로나19로
인한 버스 감차를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터미널에 가셔서 허탕치는 어르신들 및 매니아님이 없길 바랍니다.
우선 kobus에서 예매할 수 있는 노선입니다. 여수의 경우 1997년도에 3여 통합이라고 해서 여수시, 여천군, 여천시가
통합된 역사가 있으며 그 일 이후부터 이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대부분의 버스가 여천정류장(여천동 주민센터 옆)을
거쳐 가기 시작했습니다. 단, 위에 나온 버스 중 심야 버스는 여천을 무정차하며, 인천공항행의 경우 모든 차량이
여천을 무정차합니다. 또한 KOBUS에서 예매하는 노선이라고 해서 모두 고속버스 노선이 아니고, 수원행은
'여수-여천-순천-신갈-영통-수원'으로 운행되는 시외버스입니다. 수원까지 약 5시간 이상 소요되며, 우등 4회,
일반 2회로 운행되며 금/토/일요일에는 15시 20분 우등차량이 증차되는 식으로 운영됩니다. 인천공항행 같은
경우 내릴 터미널을 잘 확인하신 후 예매하시기 바랍니다. 서울, 인천, 부산(노포/사상)방면은 모두 고속버스로,
서울행에는 하루 7회 정도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투입되고 있습니다. 서울행과 인천행 버스는 정안휴게소에서,
부산 방면 노선은 섬진강휴게소에서 중간 하차/환승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서울행 중 '프리'라고 된 버스는
중간 휴게소까지 발권이 불가합니다.(기사님께 휴게소 이후 구간의 탑승을 포기한다고 말하는 경우는 가능하나,
이 경우 환불이 불가합니다.) 명절 기간에는 차량이 증차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요시간의 경우에도 도로 사정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어서 제가 언급해 드리지 않겠습니다. 인천행, 인천공항행, 부산 사상행은 모두 우등차량만
투입됩니다.(단, 부산사상에서 여수로 내려오는 버스 중에는 하루 1회 일반고속 있습니다.) 배차 횟수같은 경우
서울행은 하루 22회, 부산 노포동행 하루 10회, 부산 사상행 하루 10회, 수원행 6회(금~일 7회), 인천행 3회,
인천공항행 3회로 배차되어 있습니다. *아, 행선지의 왼쪽에 있는 숫자는 해당 노선의 승차홈 번호임을 알립니다.
*정안휴게소행 첫차는 새벽 5시 50분 서울행 우등이고, 막차는 저녁 6시 20분의 서울행 우등입니다.
*섬진강휴게소행 첫차는 아침 7시 30분 부산사상행이고, 막차는 저녁 6시의 노포동행 일반고속입니다.
(섬진강휴게소는 정안휴게소보다 빨리 영업을 종료하는 점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동대구행도 하루에 한두번 정도 생겼으면 합니다. *고속 노선 많은 이용 바랍니다.
고속 노선의 요금표입니다. 서울행의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월~목요일 한정(공휴일 제외)으로 36600원으로
할인되며, 심야프리미엄은 월~목요일 한정으로 40300원으로 할인됩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우등 요금은
33200원, 고속 요금은 22300원입니다. 여기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오는데,
시외버스는 국도 구간에서의 경우 요금이 매우 크게 비싸집니다. 그 증거로 서울행보다 가까운 수원행의 일반고속
요금이 무려 4000원(22300<26300)이나 더 비싼 것을 알 수 있습니다.(다만, 수원행은 순천을 거치기 때문에
더 비쌀 수도 있습니다.) 또한 고속버스는 여천에서 탑승해도 여수터미널과 요금이 같으나, 시외버스의 경우
여천에서 타면 요금이 약간 저렴함을 알립니다. *상기 노선들의 예매 사이트는 https://www.kobus.co.kr
또는 고속버스모바일 어플 전자승차권으로 예매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다음 내용 이어 드리겠습니다.
*인천공항행의 아침 11시 10분 차량은 인천 송도를 경유하며, 송도까지는 43000원 되겠습니다.
*정안휴게소 까지는 우등 22200원, 일반 14800원이며, 섬진강까지는 우등 6600원, 일반 4500원입니다.
위에도 언급했듯 행선지 왼쪽에 있는 숫자가 바로 해당 노선을 탈 수 있는 승차홈 번호입니다. 순천같은 경우
2, 3, 4, 5번 탑승장에서 탑승이 가능합니다.(9번 홈의 수도권행 및 포항행 우등 차량도 순천을 거치는데,
순천까지 탑승 가능 여부는 해당 업체에 문의 바랍니다. 아마 탑승이 안 될 겁니다.) 즉, 여수종합터미널의
10개 홈 중 4개 승차홈이 순천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어서 광주행 시간표는 제가 별도로 표기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통영행 같은 경우에도 순천까지 탑승 당연히 가능합니다. 그런데 통영행은 시외직행 노선임에도
kobus에서 예매하는 정말 예외적인 노선임을 알립니다. 하루 3회 있네요. 사실 중간에서 갈아타기만 잘 하면
하루 3회를 4회로 늘릴 수 있는 팁이 있는데, 아래 부분에서 언급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순천행은 뭐 상당히
자주 다니기 때문에(하루 100회 넘게 다닙니다.) 시간표 상에도 10~15분 간격이라고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막차 시간이 조금 아쉬운데(22시 차량부터는 심야입니다.), 인천공항행 차량을 순천까지 탑승 가능하게 만들면
해결될 문제라고 봅니다.(다만, 좌석 점유 문제로 인해 4~5자리 한정으로만 구간승차를 해 주면 될 듯 합니다.)
고흥-녹동행의 경우 여천, 순천, 벌교를 경유하여 하루에 25회 넘게 운행되네요. 목포행 직통의 경우에도 실제로는
순천을 경유하고 순천 이후부터 직통으로 운행되는(일부 차량은 영암군 삼호 지역도 추가 경유) 차량이기 때문에
순천까지 구간 탑승이 됩니다. 목포 직행의 경우에는 순천-벌교-보성-장흥-강진을 경유하는 완행으로 운행합니다.
*해남행의 경우에도 보성-장흥-강진까지는 목포 직행 노선과 같이 가며, 강진에서 갈라지는 노선임을 알려 드립니다.
*여수-순천 구간과 비슷한 사례로, 포항-경주 구간, 통영-고성 구간 시외버스가 하루 100회 가까이 다니고 있습니다.
*순천까지는 40~50분 정도 잡으시면 됩니다.(여천 정차 감안해도 열차의 2배 가량 걸리네요.) 다만 운행 횟수
측면에서 열차의 운행 횟수보다 훨씬 많이 다니기 때문에 여수-순천 구간은 버스 이용이 더 편립합니다. '남원-전주'
노선의 경우 표기된 4회 중 3회만 전주까지 올라가며(남원, 전주는 열차 이용 권장) 막차인 오후 3시 50분 버스는
'여수-순천-구례-남원'으로만 운행하는 버스입니다. 이어서 5번홈 울산행 같은 경우 제가 알기로는 여수에서 출발한
후 동광양(중마동)을 거친 후 바로 울산으로 가는 게 아니고 중간에 '김해시외버스터미널'을 거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 여수에서는 이상하게 김해까지 가는 표를 끊을 수가 없습니다. 김해로 가실 분들은 순천터미널에서
하루 2회 있는 김해 노선을 이용하시거나, 아니면 동광양까지 가는 티켓을 발권한 후, 동광양에서 다시 김해로
가는 표를 끊어서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울산행 차량의 경우 동광양(중마)에서 3~5분정도 대기하기 때문에,
기사님께 미리 말하신 후 중마동에서 김해행 표를 끊으시면 됩니다.) 대구 서부정류장행의 경우, 아침 8시 22분
버스는 토요일만, 오후 2시 20분 버스는 일요일만, 오후 4시 23분 버스는 금, 토, 일요일만 증차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즉, 월~목요일에는 하루 7회만 운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여수-여천-순천-광양-중마-대구'로
운행되는 버스입니다. 아침 9시 17분 차량만 요금이 약간 저렴한 일반 요금으로 운행됩니다. 대구서부행의 경우,
우등과 일반의 요금 차이가 1000원밖에 나지 않는 특이한 노선이더군요. 그럼 바로 다음 노선 설명하겠습니다.
광주 직통노선의 경우, 1번 승차홈에서 승차하며 여천은 상기 시간대 모든 차량이 경유합니다.
'신대'는 순천 신대지구를 의미하며 하루 7회 운행되는데 7회 중 1회만 우등이고 나머지 1회는 일반입니다.
운암동 경유는 1시간 35분 이상, 신대지구나 문화동 경유 차량은 1시간 40분 이상을 잡고 가시면 되겠습니다.
(단, 출퇴근 시간이 낀 경우, 유스퀘어 진입로가 혼잡한 경우는 2시간 가까이 잡으시면 됩니다.) *순천 신대지구까지
구간탑승 당연히 가능합니다. *주말, 행락철, 명절에는 시간표에 없는 임시 차량이 투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공동운수협정'이라고 해서 관광버스 차량이 투입될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총 운행 횟수는 하루 32회네요.
시간표 상에는 30~40분 간격이라고 나와 있지만 실제로는 1시간 넘게 벌어지는 시간대도 있는 순천 경유 광주행
차량입니다. 2시간 30분 이상 잡으시면 됩니다. 광주 직통 21시 5분 차량을 놓치신 경우 이 차량들 말고는 선택지가
없기 때문에 이용에 주의하셔야 하며, 22시 35분 차량과 23시 차량은 여천을 무정차하는 차량입니다. 역시 문화동과
운암동 경유로 나뉘는데 문화동에서 내릴 시 요금이 약~간 더 저렴함을 알립니다. 하루 운행 횟수는 총 22회네요.
(순천까지는 당연히 구간승차가 가능하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마산-창원행도 역시 순천을 거쳐 갑니다. 금호고속과 대한'여객'이 배차하는 노선인데 예매 사이트에는 대한'고속'으로
적혀 있는 상태입니다. 물론 버스 매니아가 아닌 사람들한테는 대한여객과 대한고속이 뭐가 다르냐고 하시겠지만
대한'여객'은 경남 진주시 업체고, 대한'고속'은 전북 전주시 업체입니다...... 연고지 이름마저도 진주와 전주로
유사하네요. 이런 식의 업체명 표기는 조속히 시정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유사 사례로 경남 양산시의 '경남고속'과
경기 용인시의 '경남여객'의 표기를 헷갈리게 한 사례도 약 5년 전쯤 kobus 예매 사이트에 있었습니다. 용인에서
지방으로 가는 경남여객을 KOBUS 사이트에 경남'고속'으로 표기했던 사례가 있었는데 지금은 개선된 상황입니다.
어쨌든 마산행 10회 중 3회만 창원까지 가는 식으로 되어 있음을 알립니다. 대전행의 경우 특이하게도 여수에서
출발하여 중마동부터 먼저 거친 후 광양을 거치고 바로 고속도로 올려서 대전으로 가는 식입니다. 청주행의 경우
원래는 '여수-순천-남청주-청주'노선이었으나, 이순신대교 개통 후 '여수-중마-광양-순천-청주'로 바뀐 노선입니다.
동서울행과 성남행은 순천을 거쳐 하루 8회씩 운행되네요. 사실 전주, 남원, 순천, 여수 이쪽 구간은 수서행 SRT가
운행되지 않는 구간이기 때문에 성남행이 동서울행과 거의 같은 횟수로 유지되고 있으나, SRT가 운행 중인 지역에서는
성남행 버스가 꾸준히 감차되고 있음을 알립니다. 경주-포항행의 경우 '여수-순천-경주-포항'으로 운행하는 버스이며,
안산-부천행과 고양행도 마찬가지로 순천을 거쳐 가는 버스입니다. 9번 홈의 노선들은 순천까지 탑승이 안 되는 걸로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5번 홈의 노선 중 '동광양'의 경우 '중마'또는 '중마동'으로 이해하시면 되는데, 표를 끊을
때에는 동광양으로 선택하셔서 발권하시면 됩니다. 괄호에 '대교'라고 적힌 시간대만 묘도대교-이순신대교 지름길로
광양까지 가며, 나머지는 여천, 순천을 거쳐 돌아 가기 때문에 광양까지는 1시간 10분, 중마동까지는 1시간 30분이
걸리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광양/동광양행의 승차홈은 5번이라고 되어 있으나 일부 시간대에는 4번이나 6번 홈에서
출발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버스의 행선판을 잘 보고 타시면 되겠습니다. 특히 대구행 버스도 광양까지 승차 됩니다.
*동광양행 버스의 경우 최종 종점이 대전, 청주, 울산, 대구(대구행은 순천으로 돌아감.)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여수-동광양 구간 탑승기는 별도로 포스팅해 드리겠습니다. *김해행의 경우 8시 40분과 13시 30분의 울산행
버스를 타고 동광양에서 내려서 표를 다시 끊으시면 됩니다. *통영행의 경우에도 동광양행만 잘 이용하시면 시간도
벌고 요금도 아낄 수 있어서 좋습니다. 우선 동광양-통영 구간의 경우 '(여수-여천-덕양-)순천-광양-중마-통영'으로
운행하는 차량인데 9:10/ 12:05/ 15:30/ 17:20/ 19:10으로 총 5회가 운행됩니다. 즉, 이 여수시외버스터미널에서
아침 동광양행 아침 8시 20분 차의 경우 동광양에서 통영행 9시 10분 차량과 연계되며, 11시 10분 버스를 타시면
중마에서 12시 5분 차량과 연계됩니다. 통영행의 오후 차량은 여수에서 바로 타고 가시는 게 맞다고 보시면 됩니다.
상기 노선의 예매 사이트는 https://intercitybus.tmoney.co.kr/main.do 입니다. 물론 bustago로도 예매 됩니다.
사실 저는 다른 터미널 시간표에는 'https://txbus.t-money.co.kr/main.do'로 소개해 드렸는데, 같은 사이트입니다.
요금표입니다. 중/고등학생 요금은 20% 할인, 초등학생 요금은 50% 할인입니다.
하나만 예를 들어 순천행 심야 버스의 중/고등학생 요금은 4000원, 초등학생 요금은 2500원이 됩니다.
*또한 여천/덕양까지 1500원으로 구간 승차가 가능한 점 참고 바랍니다. *직행 노선 중 가장 비싼 곳은
고양으로 38000원이네요. 가나다 순으로 잘 정렬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학생 요금은 예매 사이트를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아, 광양이나 동광양행의 경우 이순신대교를 타는 시간대는 요금이 저렴합니다.
*순천을 거쳐 가는 광양행은 6800원, 동광양(동광양=중마동 같은 터미널입니다.)행은 8400원이네요.
대구 서부정류장행은 특정 시간대에 21인승 프리미엄 버스가 투입되고 있는데 요금은 위 표와 같습니다.
(프리미엄 버스 투입 시간대는 날마다 달라지니 예매 사이트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매표소와 먼 쪽부터 적어 본 승차홈입니다. 여수종합버스터미널에는 우체국 ATM이 있음을 알립니다.
7~8번 홈이 고속 홈이고 나머지는 시외직행 홈으로 보시면 되겠으며, 권역별(?)로 잘 배정되어 있습니다. (9번, 10번
홈에서 출발하는 버스도 순천을 거쳐서 목적지까지 갑니다만, 90% 이상의 차량이 여천을 경유하지 않음을 알립니다.)
승차권 자동발매기는 고속버스와 시외직행버스를 통합하여 발권하는 방식입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주차되어 있는 차들. 우측 경전고속 차량이 바로 대구 서부정류장행 21인승 프리미엄 버스로, 순천까지 탑승 됩니다.
여수터미널의 물품보관함입니다. 작은 칸 2000원, 큰 칸 3000원이며 00시 이후 찾을 시 추가요금이 부과됩니다.
육교에서 찍어 본 여수종합버스터미널(여수시외버스터미널) 건물입니다. *근처에 이마트가 있습니다.
*이 터미널의 위치를 올려 드리고 포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즐거운 여행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S. 여수 시내버스 정보는 https://its.yeosu.go.kr 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PS2. 통영행 버스는 순천까지 탑승 됩니다만, 광양까지는 탑승이 안 되며 시간표에도 없네요.
(통영이 최종 목적지인 해당 시간대의 순천행은 '비좌석제'로 시외버스 전산에 뜨더군요.)
PS3. 9번 홈에서 출발하는 버스 및 목포 직통노선의 우등에는 '시외우등 할인제도'라고 해서
성인 요금 한정 10% 할인해 주는 제도가 있는데, 명절 연휴 기간에는 적용되지 않음을 알립니다.
(이틀 전 사전예매, 5인 이상 단체 예매, 왕복 예매 시 10% 할인, 맨 뒤 4자리 10% 할인)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 장승포 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요금표 - 200201 (0) | 2019.12.31 |
---|---|
[쉬어가는 포스트] 시외버스 좌석배치 예외사항에 대해 (0) | 2019.12.31 |
창원역 시외/고속버스 정류소 시간표 리뷰(창원역에서 서울, 대전, 대구, 진주행 버스 타는 곳)+(밀양행 타는 곳)-191226 (0) | 2019.12.24 |
경상남도 지역(김해, 거제, 창원, 양산 등) 시내버스 요금인상 안내(2020.1.10~) (1) | 2019.12.10 |
제천고속버스터미널(동부고속 서울 강남행 전용터미널) 시간표, 요금 정보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