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세종시 BRT 시내버스 노선] 900번 일렉시티 굴절버스(B0), 990번 블루시티(B2), 1001번 유니버스 럭셔리(대전-B1), 757번 유니버스 엘레강스(청주-B3)

반응형
728x170

*본 포스트의 원문은 blog.naver.com/newpark314/222043684524입니다.

 

[세종시 BRT 시내버스 노선] 900번 일렉시티 굴절버스, 990번 블루시티, 1001번 유니버스 럭셔리(대전

#세종시, #BRT, #버스중앙차로, #시내버스, #일렉시티, #탑승기, #굴절버스, #900번, #시내순환버스,#99...

blog.naver.com

원문 내용에서 일부를 수정하여 업로드했음을 알립니다.

*여기서 BRT라고 하면 Bus Rapid Transit으로 말 그대로 '간선급행버스체계'를 뜻합니다.

2021년부터 900번은 B0, 1001번은 B1, 990번은 B2, 757번은 B3으로 번호가 바뀐다고 합니다.

('바로타'라는 버스 브랜드 도입에 관한 사항으로, 2021년 2월에는 B5라는 보조 BRT도 도입됩니다.)

B0 노선에 투입되는 굴절버스의 경우 현재 수요가 없어 '세금 낭비'라는 비판이 많지만, 몇 년 뒤

몇몇 대학들이 세종에 캠퍼스를 차리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봅니다. 또한 B4라는 노선이 없는데,

'대전-지역대학공동캠퍼스-오송' 노선을 B1에서 일부 나눠서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2021년 4월 1일부터 세종시 면허 버스인 B0, B2의 배차 시간이 바뀐다고 합니다. 또한, B0 노선에는

모든 버스가 전기 굴절버스로 바뀐다고 합니다. (기존 B2번의 굴절버스는 운행 중단된 지 오래 됐지요.)

자세한 사항은 위 세종도시교통공사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구 900번인 B0번의 경우 한 바퀴의 길이가 짧아서 굴절버스 한 대로 하루종일 굴려도 되는 것 같습니다.

728x90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세종특별자치시의 명물(?)이라고 할 수 있지요. BRT 버스 노선들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해당 도로에는 세종시내 순환 노선인 900번(1바퀴 소요시간 35분), 대전 반석역에서

세종시내 서부를 거쳐 오송역까지 가는 990번(1편도 소요시간 40분+a), 대전역에서 세종시청, 세종시내 서쪽을

거쳐 오송역으로 가는 1001번, 마지막으로 법적으로 BRT로 분류하지는 않으나 전통적으로 BRT 차로를 타고 있는

청주 시내버스 757번(세종터미널~세종시내~오송역~오창~청주공항) 노선이 있습니다. 990번은 주황색 버스,

900번은 파란색 계통 버스, 757번과 1001번은 빨간색 버스라 버스 색만 봐도 쉽게 구분이 됩니다. 다만, 990번

버스도 예외적으로 파란색이 다니는 경우가 있고, 757번과 1001번은 붙어 다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뒷문이

있는 지 없는 지를 보고 구분합니다. 900번 차량과 990번 차량은 이번에 직접 타서 탑승기 성격도 약간 들어가

있을 예정이고, 751번과 1001번은 간단하게 소개만 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바로 관련 이미지들 올라 갑니다.

세종 BRT의 대략적 노선도, 촬영지는 정부세종청사 북측 정류장(세종터미널 방향)입니다. 충남대병원 방향 번호는 52033입니다.

*최근 이 BRT의 브랜드 명칭이 '바로타'로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코레일의 과거 철도 예매 시스템인 '바로타'가

있었다는 것을 세종시 관계자도 알고 있는 듯 한데, 이미 사라진 지 10년이 넘어 가는 단어라 사용에 별 문제는 없을

듯 합니다. 촬영지는 정부세종청사 북측 정류장(세종터미널 방향)입니다. 충남대병원 방향 번호는 52033입니다.

세종시에는 현재 brt 4개 노선이 다니고 있는데 세종시 산하 공기업인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900번과 990번이고 '대전비알티'에서 운행하는 대전 버스인 1001번과, brt로 분류되지는 않는다는 청주시의

757번(과거 751번) 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종터미널 지상 정류장의 경우 757번과 900번의 타는 곳이

약간 다른데, 10m 안쪽 차이라 사실상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노선도를 보시면 상당수의 노선이 세종시 서부,

남부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누리리 정류장은 2020년 상반기에, 세종충남대병원 정류장은 2020년

7월에 개통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누리리 정류장은 900번과 990번, 1001번 등의 버스 간 환승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주변에 정말 아무 것도 없다고 합니다.) 1001번과 900번의 경우 소담동~누리리 구간이

겹치네요. 이 BRT 구간 노선의 경우 지하철급 평균속도, 표정속도를 가지고 운행된다고 하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900번 일렉시티 굴절버스 내/외부 사진

기존 버스들보다 내/외부 전광판의 시인성이 좋아졌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900번에 도입되어 운행 중인 현대 일렉시티 굴절버스입니다. 2019년 말에 4대가 도입되었고, 2020년 말까지

8대가 도입되어 총 12대로 운행하게 되는데, 일부는 아래 언급할 990번에도 몇 대 운행 중입니다. 차 내부부터

다른 차와는 다른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첫 사진만 보시면 일반 버스와 차이가 없는 것 같지만 굴절버스라 지하철과

비슷한 굴절 부분이 있으며, 버스 자체의 길이도 지방 지하철 1칸의 길이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입석

포함 80명 이상을 탑승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운행 중 굴절부에 서 계시는 행위는 자제하시기 바랍니다......

900번의 경우 내부에서 버스 운행 정보를 더 상세하게 볼 수 있고, 기사님의 정보도 노선도 옆에 띄워 주고 있습니다

900번의 뒷 유리창에 카메라를 대고 찍어 봤는데, 이 날 기상 상황이 좋지 않아 좋은 사진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정부청사에서 출발하는 사진, 나성동 쯤에서 다른 굴절버스와 교행하는 사진(희미하게 보임.)을 담아 냈습니다.

900번의 경우 시인성이 매우 뛰어난 전광판으로 정류장 및 노선 정보를 알려 주고 있었고, 운전 기사님의 이름도

알려 주고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전기버스라 다른 버스보다 가/감속 성능이 뛰어나고 소음도 적었습니다......

세종터미널이나 대평동 정류장 같은 경우 지하에 있기 때문에 연기가 없는 버스의 도입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900번의 운행 시간 정보는 '세종도시교통공사'의 홈페이지(클릭 시 새 창 열림.)에 가셔서 알아 보시기 바랍니다.


300x250

900번의 대략적인 노선입니다. 1바퀴 소요시간은 약 35분인데, 사람이 없을 때에는 31~33분만에도 주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터미널 지하 정류장에서 약간 대기하고 출발합니다.(뒤쪽에 다른 brt 버스가 올 때는

비켜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표에 나온 시간보다 약간 빨리 출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금 정보는 우측 하단에

있습니다. 위 시간표에서 비고란에 '터미널'이라고 된 노선은 1바퀴 돌고 터미널 지상으로 올라온다는 뜻입니다.

900번과 990번을 섞어 올렸습니다. 900번 1313호 사진에 요금을 적어 두었습니다.

이어서 990번의 경우 현대 블루시티 차량을 담아 보았으며, 세종터미널 지상 정류장에서 반석역까지 무려 9분만에

주파하였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중간에 속도가 60km/h대 중반으로 줄었음에도 9분만에 끊어서

유사한 구간을 운행하는 대전 1002번 버스보다 약간 빨리 주파하였습니다.(배차 간격 면에서도 990번이 더

낫습니다만, 요금 부분에서는 1002번이 낫습니다.(1002번의 경우 반석역 도착 전 2개 정류장을 추가 경유함.))

900번의 경우 세종시 구간에서 1.8km 정도만 속도 측정을 하였으며, 약 8분간 짧게 탔음을 알립니다.

900번의 경우 에디슨 모터스에서 나온 화이버드 차량도 다니고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안전 운행을 위해

애써 주신 기사님들께 감사 인사 올립니다. *반석역 도착 전에 나온 종착 로고송이 매우 인상깊었습니다.

*990번 버스의 구간 요금은 위에 표기했습니다. *990번 버스는 평일 배차간격 10분(출근시간 5분),

주말 배차간격 12분(막차시간대 15분)으로 운행되는 버스임을 알려 드립니다.(첫차 05:00 막차 00:30)

1001번은 대전 면허 버스로, 첫차 05:30 / 막차 23:40(오송역 출발 버스는 23:45)입니다.

이어서 대전 1001번 같은 경우 몇 년 전에 추진되었던 원안 노선이자 저의 희망사항 노선은 위와 같이 세종

KDI에서 국책연구단지, 집현리 쪽으로 운행하여 현행 루트보다 훨씬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것이었으나,

수요 문제로 인해 현 노선으로 5년째 운행 중입니다. 개인적으로는 1시간에 1번만이라도 빨간 선이 그어진

지선 노선(1011?)을 만들어 운행시켰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평일은 11~13분 간격, 주말에는

15~16분 간격으로, 990번과 비슷하게 운행된다고 합니다. 위 차량은 41인승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스윙도어) 차량인데 차량 좌석에 USB 충전포트가 달린 차량입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첫, 막차시간 정보와 요금 정보는 위 이미지에 적어 두었습니다.(카드 사용 시 200원 할인되네요.)


반응형

위 1001번 버스의 뒤에 바로 붙어서 온 차량(청주교통 3070호) *청주공항으로 가실 때 많이 이용할 버스일 듯 합니다.

세종터미널 지상 정류장에서 출발하여 세종청사, 오송역, 오송읍, 오창을 거쳐 청주공항으로 가는 757번

노선인데,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30~40% 감차되었습니다. 시간표는 위 이미지에 적어 두었음을 알립니다.

코로나19 시국을 보면 공기업이나 준공영제 지역에서 운행하는 대중교통 노선은 감차가 거의 안 되었고,

민간에서 운행하는 노선들 대부분 20% 이상 감차되었습니다. 특히 앞서 포스트했던 소위 말하는 메이저

고속버스 회사에서 운행하는 노선들도 수요가 없다는 이유로 약간씩 감차된 것을 보면 민간 기업에서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경우 요금이 비싸질 가능성도 크지만, 코로나19같은 위기상황 발생 시

운행 횟수 자체가 크게 줄어들 가능성이 있어서 공기업의 민영화 반대 논리로 사용할 수 있을 듯 합니다.

757번의 수요가 적은 이유는 언급했다시피 대전 1001번과 붙어 오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아서입니다.

유니버스 엘레강스 차량이고 뒷문이 있는 차량입니다. 요금 정보는 위 이미지에 올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쯤에서 세종특별자치시 BRT 차로에 다니는 4개 노선버스 소개 포스트를 모두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PS. 위 4개 노선은 향후 B0, B1, B2, B3과 같은 방식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