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아래 시간표에서 추가 감차가 있음을 알리나, 거리두기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시외버스는 최신 버전입니다만 군내 와와버스는 최신 버전이 아니니 정선군청 사이트를 보시기 바랍니다.
*서울 쪽으로 가실 분들께서는 고한, 진부역에서 열차 이용을 권장하는 바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강원도 동강으로 상당히 유명한 '정선군'의 메인 버스터미널의 시간표와 요금표를
올려 보겠습니다. 최근에 직접 가 본 적은 없지만 5년 전 여름에 직접 가서 촬영했던 적이 있었고, 그 때에 비해
시외버스 노선이 많이 줄었고 시내 공영버스가 늘어난 상황이라 이 부분에 대해 올릴 필요가 있다고 봐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2020년에도 시간이 나면 한 번쯤은 갈 것 같긴 한데 잘은 모르겠네요. 그럼 바로 이미지 올립니다.
2015년 당시에 찍었던 건물 사진입니다. 그냥 '정선버스터미널'이 정식 명칭입니다.
당시에는 강원여객, 영암고속 등에서 농어촌버스 형태로 버스를 굴리고 있었습니다.
터미널 바로 옆에 있던 여관은 잘 있는 지 모르겠고 2층같은 경우 최근 도입된 와와버스
기사님들의 사무실, 쉼터로 활용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터미널 많은 이용 바랍니다.
사실 위 이미지에는 인구감소라고 썼지만 정선군의 인구는 최근 10년 사이 약간이나마 증가한 상황입니다.
인구감소보다는 '고령화'라는 표현을 쓰는 게 더 맞겠지요. 10년 전에는 제천 및 경기도로 가는 노선도 꽤
많이 다녔는데 동해고속과 KD운송그룹이 정선터미널을 떠난 상황이라 시외버스는 동쪽 노선 하루 6회,
서쪽 노선 하루 8회만 다니고 있습니다. 동쪽 노선은 임계, 삽당령을 거쳐 강릉으로 가는 노선으로 하루
6회이고 서쪽 노선은 평창, 안흥(찐빵으로 유명한 곳 맞습니다.)을 거쳐 동서울로 가는 노선 5회, 장평을
거쳐 원주로 가는 노선 4회로 총 9회로 다니네요. 물론 정선에 숙박하는 버스도 있겠으나, 대부분은
원주나 동서울에서 출발한 버스가 정선에서 30~40분을 쉰 후 강릉으로 가거나 원래 출발지로 돌아가는
패턴으로 운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에 있는 노선만 매표소에서 표를 팔며, 요금은 제가 적었습니다.
*나전, 여량, 임계행은 아래 언급할 와와버스를 놓치셨을 때만 위 버스를 타시면 되겠습니다. 옛날에는
이 시외버스와 정선 농어촌버스의 요금이 비슷하여 좌석이 편한 시외버스를 추천하기도 했고, 배차도
더(훨씬) 자주 있어서 시외버스를 타는 경우가 꽤 있었으나 요즘에는 그냥 와와버스 타라고 합니다......
단, 임계행은 시외버스의 배차가 더 자주 있습니다. (와와 4회 VS 시외 7회)
나전 1700원, 여량 2700원, 강릉 10200원, 미탄 3200원, 평창 4900원, 장평 8900원, 동서울 20000원입니다.
*동서울 오후 차의 요금이 우등 할증되어 평창 6400원, 동서울 26000원이 되었으니 열차 타시기 바랍니다.
서울남부터미널은 장평에서 환승하시고, 경기도 곳곳으로 갈 때는 원주나 동서울 가셔서 환승하시면 됩니다.
와와버스 시간표 #1. 원래는 2장을 붙여 올렸는데 모바일로 보기 불편해서 다시 분리했습니다.
개인적인 견해로, 진부역 노선은 운행시간을 10~15분 정도 당기면 진부역 ktx와 연계되어 좋을 것 같습니다.
*와와버스 시간표 #2. '함골'이 아닌 '항골'이 맞으며, 해당 노선 3회도 나전(북평)을 경유합니다.
과거 정선의 경우 철저한 구간요금제를 실시해서 진부역까지 4000원을 넘게 받았다는 이야기가 있지요.
와와버스의 경우 정선군 홈페이지나 정선 대중교통 사이트를 보시면 목적지에서 정선으로 돌아오는
시간표가 나와 있습니다. 우선 가장 많이 운행되는 여량행의 경우 일부 차가 남평을 거쳐 가는 방식이고,
4회는 여량을 거쳐 임계까지 가고, 3회는 봉정까지 갑니다. 여량 다음으로 횟수가 많은 차는 화암행인데
시간대별로 경유지와 목적지가 다르니 확인 후 이용 바랍니다. 회동행도 횟수가 꽤 많네요. 고한행 같은
경우 과거에는 태백까지도 갔다는데 요즘에는 고한 가셔서 시외버스 타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다만,
일부 시간대는 고한에서 요금 2000원을 새로 내시면(결국 정선-태백에서는 3000원을 내는 셈입니다.)
연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선역 같은 경우 정선군에서 노선 길이가 가장 짧다고 보시면 되는데,
하루 8회지만 정선의 핵심 노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군 단위라 막차가 매우 빨리 끊기네요......
진부역 같은 경우 1시간 20분 이상 소요되고 3000원입니다. *숙암까지만 가는 차도 있는데,
정선터미널 기준 숙암행은 7:40, 9:05, 11:40, 13:30, 15:40으로 결국 하루 5회가 되네요.
진부역행의 경우 11월에 차가 증차되면 운행 횟수도 6회로 늘어난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이 외에도 함백, 문곡, 생탄 등 다양한 장소로 가는 버스가 많으니 이용에 참고 바랍니다.
요금의 경우 정선군 복지카드를 발급받으신 노인, 초/중/고생, 장애인은 무료고(진부역은 정상가.)
나머지 분들은 성인 1000원, 초/중/고생 500원이라는 놀라운 요금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진부역 노선은 외지인이라고 해서 요금을 더 받고, 정선 주민이라고 해서 요금을 할인하는 것 없습니다.
그런데, 정선군민의 경우 정선군 카드 사용 시 버스 환승할인 혜택을 준다고 하네요.(1시간 30분 내 무료.)
와와버스의 경우 정선의 캐릭터인 '와와'군을 상징하는 도색의 차량으로 운행 중입니다.
정선터미널의 경우 정선읍 서쪽 외곽(?)에 있음을 알리고 포스트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PS. 요즘 날씨가 더워서 가만히 있어도 땀이 나는 상황이 지속되네요. 이 더위가 빨리 끝나길 바랍니다.
PS2. 이 와와버스는 정선군 직영으로 운영되는 완전공영제 버스로, 2020년 6월부터 약 50일간
시운전(?)을 했고 2020년 7월 20일부터 현재 체계로 바뀌어 운행 중에 있음을 알립니다......
ps3. 시외 시간표 자료출처 url - http://www.jeongseon-pti.com/index.php?mp=p3_3_1
정선군대중교통정보
정선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 시외버스 > 시간표 동서울 강 릉 - 출발시간 경 유 출발시간 경 유 출발시간 경 유 - 평창,안흥 07:40 나전,여량,임계 - - 09:30 대화,안흥 08:50 나전,여량,임계 - - 12:20 평�
www.jeongseon-pti.com
배차 간격이 1시간~4시간으로 불규칙하니 이용에 주의 바랍니다.
*와와버스 사이트 시간표 자료출처 url -
https://www.jeongseon.go.kr/portal/openadmin/adminnews/notice?articleSeq=247482
공지사항 - 정선공영버스 운행시간(정선~진부간) 변경 안내 상세화면 | 정선군청 > 열린군정 > 군
정선공영버스 운행시간(정선~진부간) 변경 안내 정선공영버스 운행노선 중 최근 KTX 운행시간 변경, 안전속도 5030 전국 시행 등 교통여건의 변화에 따라 정선~진부간 노선에 대하여 운행시간을
www.jeongseon.go.kr
ps4. 정선터미널-정선역 간 하루 6회 운행되는 버스의 루트인데 길이가 정말 짧습니다.
거리는 약 3km 나왔습니다. 정선은 교통카드 할인요금이 따로 없어서 그대로 1000원이 찍힐 겁니다.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시 BRT 시내버스 노선] 900번 일렉시티 굴절버스(B0), 990번 블루시티(B2), 1001번 유니버스 럭셔리(대전-B1), 757번 유니버스 엘레강스(청주-B3) (0) | 2020.08.16 |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세종버스터미널) 시간표, 요금 정보- 200714 (0) | 2020.08.15 |
성남시외버스터미널(야탑터미널, 분당터미널) 시간표, 요금 정보 - 20.7.16 (+김포공항행 리무진 시간표 첨부) (0) | 2020.08.09 |
속초고속버스터미널, 속초시외버스터미널의 시간표/ 요금 정보(20.7.15) (0) | 2020.08.06 |
고속버스 프리패스(월~목 4만원 할인 프로모션) 이용 후기 ver. 2020 (0) | 202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