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세종버스터미널) 시간표, 요금 정보- 200714

반응형
728x170

세종터미널 포스트 원문 - blog.naver.com/newpark314/222043229631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세종터미널) 시간표, 요금 정보 - 200714

​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특별자치시'인 세종시의 메인 버스터미널을 올려 ...

blog.naver.com

세종시 하면 대한민국의 대표 행정도시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코로나19로 인해 인천공항행 노선은

당연히 운행이 중지되었고 수도권 및 인접 지역 노선도 상당수가 운행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수도권 지역 코로나19 심각성 증가로 인해 버스들의 운행 횟수가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문 촬영일은 2020년 7월 14일임을 알립니다. 원문에서 일부 내용을 고쳐서 업로드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특별자치시'인 세종시의 메인 버스터미널을  올려 드리겠습니다.

터미널 명칭은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입니다만 '세종시외버스터미널'이나 '세종고속버스터미널'로 나눠서 따로 

부르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이 터미널의 경우 세종시의 남쪽에 있어서 대전 유성구 지역 주민들도 990번 BRT나 

1002번 버스를 타시면 (1002번은 대전 시내버스입니다.) 반석역 기준 10분 안쪽으로(낮, 심야시간 기준) 주파가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하는 편이고, 유성 지역 터미널들보다 시설적인 면에서 약간이나마 좋기 때문에 이 부분을

고려하셔서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세종시에 거주하거나 세종시를 거쳐 가시는 많은 분들이 이 터미널의

시간표를 올려 주시는데 그 분들의 시간표를 보면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감축된 버스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다만, 매표소 벽에 있던 공지사항 종이를 찍어 올려 주신 분은 많았습니다만, 그것을 알아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지요.)

저의 경우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를 하나하나 찾아서 모자이크 처리하는 식으로 업로드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728x90

우선 고속버스부 시간표 올려 드리고 시외버스부 시간표를 올려 드리겠습니다. (사실 구분이 애매합니다.)

세종시에는 서울행 일반고속이 없다. *현재 날마다 시간표가 바뀌고 있습니다.

우선 서울경부(강남)행의 경우 평일에도 절반 이상을 태우고 운행되는 노선으로 추정되는데, 하루 80회

이상 운행되는 것이 보통입니다만 요즘에는 코로나19로 인해 10%~20%정도 감축 운행되고 있습니다. *매일 

감축 시간대가 고정되어 있어서 쉽게 반영할 수 있었습니다.(2월 중순부터 감차된 상태였다고 합니다.) 다만 

'(프)'라고 되어 있는 프리미엄 고속버스의 경우 100%에 가까운 운행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이점으로는 45인승 

일반 고속버스가 세종시에는 들어오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월요일 첫차 시간은 5시 20분이고, 아침 9시 50분까지 

월요 배차로  운영되며 월요일 10시부터는 다른 요일과 동일하게 운행됩니다.(실제로 월요일 아침에는 수요가 많음.)

소요 시간은 1시간 40분 정도를 잡으시면 됩니다. 아, 위에 나온 시간표는 모두 '세종 정부청사 터미널'을 경유하는

노선임을 알려 드립니다. 정부청사는 이 터미널을 출발한 후 약 7~8분 뒤에 경유하게 됩니다. 대개 정안ic를 통해

고속도로에 진입하던데 정안ic까지 가는 도로가 상당히 잘 되어 있어서 신호를 별로 받지 않고 이동 가능합니다.

*현재 날마다 배차 시간이 바뀌고 있으니 이용에 주의 바랍니다.(단,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100% 운행합니다.)

부산행 운행 횟수: 주 8회(하루 2회, 금/토/일/월요일만 운행)- 오송역 또는 대전역에서 열차 이용을 권장합니다.

세종시에서 서울경부를 가는데 국책단지를 경유하는 노선이 있습니다. 상기 노선은 우등만 운행되며, 정부청사 노선에

비해 수요가 많이 적은 실정이라고 들었습니다. 22시 31분 버스는 심야 버스입니다. 아, 이 국책연구단지 경유 버스는

고속버스가 아닌 시외버스임을 알려 드립니다.(세종시청과 국무조정실도 추가 경유합니다.) 소요 시간은 청사 경유

노선보다 5분~10분 이상 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노포동행은 매일 운행하지 않고 금, 토, 일, 월요일만 운행되며  

2회씩 운행합니다. 창원행 같은 경우 마산 고속버스터미널을 경유하는데 8시 10분 버스만 매일 운행하며, 금요일

18시 25분 버스도 운행합니다만 12시 50분 버스는 토, 일요일에만 운행됨을 알려 드립니다. 사실 서울이나 영남권

방면 노선은 990번으로 오송역에 올라가서 KTX를 타거나, 1001번으로 대전역에 내려가서 열차를 타시는 게 낫다고

보고 있습니다만 우등버스를 좋아하시는 분들, 고속버스 프리패스를 하시는 분들, 대전 유성구 일부 주민들 및 이

터미널 근처에 거주하시는 분들께서는 버스를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고 봅니다. 요금의 경우 서울 우등은

12500원이고(심야 13700원), 프리미엄 버스는 주중 14600원, 주말, 공휴일은(금요일 포함) 16200원입니다.

노포동행은 27000원을 받고 있습니다. 사상행은 아예 운행하지 않네요. 마산과 창원행은 모두 23800원입니다.

서울행은 대개 정안IC에서, 부산/마산행은 대개 남세종IC를 통해 고속도로에 진입하고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국책단지 경유 서울행 노선은 경부선 죽전 정류장에도 하차 가능합니다. 아, 이 노선의 경우 국회가 세종시로

내려 온다면 수요가 크게 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속버스 업계의 경영사정 악화

및 대체 교통수단 발달로 인해 고속버스가 특정 요일에만 운행한다는 것이 저에게는 신기한 부분도 있습니다.

*상기 노선들의 예매 사이트 : https://www.kobus.co.kr 또는 고속버스 티머니 어플(출발지: 세종터미널)


반응형

이어서 시외버스부 시간표를 올려 드리는데, 타 지역에서 출발하여 세종시를 경유하는 버스가 꽤 많아서, 도착 

시간이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운행 중단된 지역이 꽤 많음을 알려 드립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성남행의 경우 2021년 내로 고속버스 전환 작업을 준비하는 것 같습니다. (일단 2회에서 3회로 늘려 뒀습니다.)

서울, 수원, 성남, 천안, 청주행 시간표입니다. 인천공항행과 고양행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운행을 하지 않음을

알려 드립니다. 동서울행도 크게 감차되었네요. 성인 요금은 시간표 밑에 적혀 있습니다. 아, 참고로 서울 남부터미널

노선은 시외버스부에서 운행하는 고속버스 노선으로, 중/고등학생도 얄짤없이 11800원을 내셔야 함을 알립니다.

이 터미널의 시간표의 경우 해당 노선의 진짜 출발지를 알려 주기 때문에 차내에 다른 승객이 타고 있다고 해서

당황할 이유가 전혀 없는 터미널이지요. 청주 노선같은 경우 오송역까지 757번을 이용하신 후 747번 시내버스로

갈아 타시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듯 합니다. 아, 세종시에서 제주도를 갈 때는 다른 포스트에도 이야기하겠지만

김포공항으로 가는 경우도 있겠지만 청주공항으로 가시는 경우가 대부분일 듯 한데, 조치원 권역은 무궁화호를

타시면 되며, 세종터미널이나 정부청사 권역은 청주 757번을 타시면 청주공항까지 환승 없이 이동하실 수 있음을

알립니다. 자운대행도 운행이 없네요. 코로나19로 인해 시외버스 수요가 자가용으로 간다는 것이 조금 씁쓸합니다.

*인천공항행의 경우 개인적으로 하루에 1~2회 정도는 운행했으면 좋겠네요.(송도 및 을왕리행 버스와 연계 목적.)

'성남, 분당, 야탑' 모두 같은 곳입니다. 조치원까지는 2200원, 청주까지는 4200원을 받습니다.(요금 누락 반영함.)

*수원행 중 17시 정각 버스를 제외하면 전부 오산을 경유하며, 도로 사정에 따라 크게 늦어질 수 있습니다.

안동행은 2021년자 시간표 수정 반영함.(예매창에는 하루 4회로 나오나, 3회일 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이어서 안양, 인천행의 경우 100% 운행되고 있다는 것이 의외입니다. 부천행의 경우 4회 중 1회가 중단되었습니다.

평택행과 구미, 동대구행의 경우 전부 운행하지 않음을 알려 드리나, 운행 업체의 사정이 좋아지는 경우 2020년 8월에

부활할 가능성도 어느 정도는 있다고 봅니다.(동대구는 KTX 타시는 게 낫다고 봅니다.) 안양행과 부천행 중 전주에서

출발한 차량은 인터넷 예매가 불가능한 차량임을 알려 드립니다. 안동-영주행의 경우 대전을 거치는 것으로 아는데,

대전까지 탑승 가능 여부는 해당 버스업체(코리아와이드 대성)에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시간은 12시 20분이네요.

인천행의 경우 2020년 8월 14일부터 요금이 대폭 올랐습니다.(사유: 시외우등버스 도입, 16시 5분 버스만 제외.)

개인적으로 안동행의 경로에 대한 불만이 상당히 많이 생겼는데 단순 포털사이트 지도로만 보면, 대전에서 먼저

출발하여 이 곳 세종을 거쳐 가는 것이 거리가 약간 짧고 빠르나, 실제로는 이 곳 세종에서 출발하여 대전과 경북

도청까지 거쳐 안동으로 가는 형태입니다. 즉, 시간과 연료비를 낭비하는 식의 운행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대전 분들 입장에서는 현재 경로가 소요시간이 짧아서 좋을 수도 있으나, 같은 고속도로를 두 번 반복해서 타야

한다는 측면에서 좋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또한, 이 버스로 대전~세종 구간승차가 불가능함을 알립니다.)

홍성, 서산, 용인, 광주, 공주, 논산, 부여, 유성, 대전 방면 노선입니다. 유성행의 경우 절반 이상이 코로나19로 인해

결행되었고 용인행도 첫차와 4회차 버스가 운행되고 있지 않습니다. 전주행의 경우 딱 2회만 있는데, 오송역에 가서

KTX를 이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광주행의 경우 공주를 경유하나 공주까지 탑승 가능 여부는 금호고속 측에

문의 바랍니다. 하루 8회 중 5회만 운행하고 있는데, 시간대만 맞으면 KTX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주행 중 2회차는 11100원을 받는 우등이며, 유성행도 일부 회차는 3000원이라는 우등 요금을 받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유성까지는 990번 BRT가 빨리 연장되었으면 합니다. 공주의 경우 세종청사 가셔서 500번 또는 502번

버스로 환승하시면 된다고 합니다.(간혹 세종시 소속의 550번이 오기도 하는데 그 노선을 타셔도 되긴 합니다.)

경주, 포항 노선이 긴 운행 중지 기간을 끝내고 복구되었다

진주행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운행하지 않습니다. 서천/군산행도 운행 여부는 터미널에 문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의정부행의 경우도 아예 운행하지 않습니다. 고현행, 원주행, 충북혁신도시행의 경우 2회 중 1회만

운행되는 점 유의하시기 바라며(충북혁신도시행은 오송역까지 구간승차가 된다는 특징이 있는데, BRT 버스 이용을

권장합니다.) 춘천행은 4회 중 16시 35분의 1회만 운행합니다. 서울 남부터미널이나 원주 노선 정도만 TXBUS

이용하고 나머지 좌석지정 노선은 전부 BUSTAGO에서 예매하고 있음을 알려 드리며, 이용에 주의 바랍니다......

세종터미널에 주차된 버스들, 중앙고속 3대, 동양고속 2대, 금호고속 2대(1팀 1대, 2팀 1대입니다.)


300x250

터미널 건물과 도로명주소 표지판 이미지를 같이 붙였습니다.

이 터미널의 주소는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37-12이며, 지번 주소는 위 이미지에 적어 두었습니다.

세종고속, 시외버스터미널의 건물 사진(썸네일용)을 올려 드리고 포스트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ps. 세종터미널, 세종청사 터미널 주변 지도입니다. 이용에 참고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