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제주 관광지순환버스 810번(810-1, 810-2) 노선 정보

반응형
728x170

(최신 버전 포스트 URL * https://traffic-np314.tistory.com/316) *이용 요금은 동일합니다.

 

제주 관광지순환버스 810, 820번 노선 변경 안내(기존 노선 감차, 제주공항 출발/도착 노선 신설)

*본 포스트의 원문은 https;//blog.naver.com/newpark314/222018299734입니다. 제주 관광지순환버스 810, 820번 노선 변경 안내(기존 노선 감차, 제주공항 출발/도착 노선 신설) #제주공항, #제주, #제주시, #중산..

traffic-np314.tistory.com

이 포스트의 버스는 제주시 외곽, 특히 중산간지역의 관광지를 순환하는 810번 버스입니다.

제주 시티투어 버스를 찾아오신 분들에게는 죄송하지만 뒤로 가기를 누르셔서 나가 주시면 감사합니다.

(향후, 별도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사진이 엑박이 떠서 보이지 않는 분들은 원문 사이트에서 글을 보시면 됩니다.

728x90

​ 안녕하십니까? 사실 예전에도 810번 관광지순환버스는 타 봤었는데 그 동안 많은 사람들이 최신 버전으로 리뷰를

하셔서 저도 최신 버전으로 리뷰를 할 필요성이 생겨 리뷰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동부 중산간지역의 810번 계열

노선만 리뷰를 할 예정임을 알립니다. 방향별로 810-1, 810-2번으로 나뉘는데 제주도의 다른 버스들의 xxx-y번

체계들은 대부분 'xxy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지만 몇몇 지선버스들과 이 관광지순환버스만 '-1,-2'의 부번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내에서는 버스를 최소 1번가량 환승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접근이 어려워서 제주 시내권역의

시티투어버스보다 알려지지 않은 측면이 크기 때문에 이용객은 거의 없는 편입니다. 그럼 바로 관련 이미지들을 통해

이 노선의 특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이미지 하단 멘트.) (기점은 제주 동부권역의 '대천동 환승센터'입니다.)

관광지 순환버스 810번 계열의 기점은 '대천동 환승센터'인데 사실 이 이름의 정류장이 6곳 정도 있습니다.

'송당승마장'쪽의 환승센터 정류장을 찾으시면 밑에 '관광지순환버스'가 보이는 이 정류장이 있습니다.

대로변이 아닌 도로 폭이 약간 좁은 쪽의 정류장을 찾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내용을 잇겠습니다.

810-2번은 환승센터부터 환승센터까지 총 21개의 정류장을 순환하는 버스입니다. 1시간 20분정도 소요되도록

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며 자연유산센터와 거문오름 정류장부터 경유하여 다양한 테마의 관광지를 한 바퀴 도는

노선인데 주로 '자연'과 '추억'을 테마로 하는 노선이며 '오름'들이 많습니다. 참고로, 거문오름은 방문 며칠 전에 사전

관람 예약을 하셔야 가실 수 있는 곳입니다. '선녀와 나무꾼' 같은 경우 제가 예전에 갔었는데 '검정고무신'의 실사판(?)

마을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희연 같은 경우 서쪽에는 오설록이 있다면 동쪽은 이 곳이죠. 녹차에 대한 다양한

것들이 전시된 곳입니다. 둔지오름은 반대쪽 노선을 타도 비슷한 시간이 소요되는 곳입니다. 즉, 중간 지점이라는

이야기지요. 메이즈랜드는 수학여행으로 많이 가는 미로 찾는 곳이며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서 1시간 넘게 갇히셔도

책임 못 지는 곳입니다.(규모가 다른 미로공원들의 5배가량 됩니다 ㅋㅋㅋㅋㅋ) 비자림은 말그대로 비자나무 숲이고요.

다랑쉬오름이나 용눈이오름은 거문오름 급으로 상당히 유명한 그런 곳이고 그 사이에 레일바이크라고 하는

철도(?)관광지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부오름과 오름 4개가 한꺼번에 있는 정류장을 거치게 되면 다시 환승센터로

돌아오는 코스입니다. 관광지 내 구간은 도로가 좁고, 시간 여유도 충분해서 저속 주행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 방향인 810-1번도 마찬가지로 1시간 20분이 소요되는 노선입니다.

이 관광지순환버스의 경우 다른 급행버스나 간선버스와의 환승 할인이 됩니다.(대기시간: 40분)

또한 관광 가이드분이 승차를 하시기때문에(9시 30분 출발 차량부터 16시 30분 차량까지)

관광지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가 있는 노선입니다. 배차 간격은 30분이며 하루 16회를 운행하며 

각 방향별 4대의 차량이 돌고 있습니다. 단 810-2번은 10시 30분부터 13시 30분까지는 점심

시간 관계로 1시간 간격으로 돌며 810-1번은 11시부터 14시까지는 1시간 간격으로 운행됩니다.

요금은 1탑승당 1200원(카드 1150원)이며 1일 티켓 사용시 성인 3000원, 청소년 2000원입니다.

810-2번의 운행 차량입니다. 옆 정류장에는 직원의 휴게실이 있습니다.

이 차량의 경우 새 차는 아니고 2014년에 출고된 차량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관광지 버스가 출고된 지 n년 

이내의 차량만 투입시킬 수 있다는 제한이 있었던 것으로 아는데 조건에 맞는 차량인 지는 잘 모르겠네요.

저희 동네에서 이런 차량이 시외버스로 많이 돌아다니고 있기 때문에 잘 압니다.

'중고'의 흔적. 분홍색 챠량이었다가 노란색으로 '랩핑'을 한 차량입니다.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입니다.

810-1, 810-2번 내부 노선도. 관광지에 대한 설명은 버스에 탑승한 가이드님께서 자세하게 안내해 드릴 겁니다.

*이 버스의 경우, 식당 호출벨 형식의 하차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300x250

대략적인 노선의 모양입니다. 차내에서는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실 이 버스가 다른 버스보다 느리게 가긴 합니다만 환승센터~자연유산센터 구간은

꽤 빠른 속도를 내기 때문에 그 구간에서라도 안전벨트를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시간표 상에 있는 시간보다 약 2~3분정도 일찍 정류장에 나와 계시면 됩니다.

세계자연유산센터에서 찍어 본 하늘 사진도 올렸습니다.

네이버 지도로 그려 관광지순환버스 810번(-1, -2) 노선의 모양입니다.('회색 점 친 곳=정류장'입니다.)

이 노선의 좌석을 우등으로 개조하던가(......) 일주일에 하루 정도는 쉬던가(......)해야 수익이 유지될 것 같습니다.

앞으로 이 버스가 계속 유지되어 관광지들의 경제적 이득을 많이 보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아, 이 관광지순환버스가 밤에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심야버스 역할을 합니다.

즉, 제주 지역 심야버스의 경우 1200원에 이런 고급 좌석(관광형) 차량을 탈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이 심야버스 요금을 약간 올려서 관광지 버스의 적자를 커버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만 합니다.

 

ps.상세한 노선 정보(820번 포함) url -  http://www.jejutouristshuttle.com/

ps2. 네이버에 했던 관련 포스트 url들 - 

https://newpark314.blog.me/221286412091 -

1번 글은 5월 19일 하루만에 무려 30여 개의 글이 작성된 상황을 비판한 내용입니다.

https://newpark314.blog.me/221091115977

2번 글은 2017년 9월에 올렸던 관광지 순환버스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