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제주 지역 시내버스 체계(노선/요금 등)

반응형
728x170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네이버 블로그가 아닌 여기 티스토리 블로그에만 독자적으로 올리는 내용입니다.

어떻게 보면 관광객보다는 현지 도민들에게 유용한 컨텐츠일 수도 있습니다. 제주도 지역의 시내버스 체계를

간단하게 알려 드리고자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하단부에 관련 내용을 올려 드리는 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

우선, 하단의 모든 이미지 출처는 '제주버스정보시스템'에서 가져 온 것임을 알립니다.

해당 사이트는 http://bus.jeju.go.kr/ 입니다. (노선 변경 공지사항을 확인 가능합니다.)

728x90

우선 제주 버스의 노선 번호 체계부터 말씀드리면 대개 세 자리의 노선 번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1xx는 빨간 도색의 급행버스이고 2xx, 3xx, 5xx 이 번호들은 진한 하늘색 계통의 간선버스입니다.

4xx, 6xx, 7xx는 청록색 계통의 지선버스이고요. 810, 820번 계통은 노란색 관광지 순환버스이며,

이 관광지 순환버스가 제주와 서귀포 시내의 심야버스(네 자리 수 번호, 3000번대는 제주시,

5000번대는 서귀포시 심야버스로 3001번만 매일 운행하고 나머지 노선은 대부분 평일에만

운행합니다.) 관광지 순환버스의 경우 대개 시외버스에 들어가는 고급 차종만 운행되기 때문에,

심야 버스로 이 관광지 순환 차량을 탈 수 있다는 것은 상당히 큰 축복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제주도는 서울, 부산 등과 달리 심야버스의 요금 할증이 전혀 없기 때문이지요.)

*예외로, 600번과 800번은 공항 리무진 버스로, 전용 도색으로 운행되며, 요금도 비쌉니다.

*7xx 노선 중, 수요응답형 버스라고 해서 스타렉스/카니발 등이 운행되는 경우도 있음을 알립니다.

제가 원래는 제주 버스도 네이버 블로그에서 소개했던 내용을 끌어 오려고 했으나 링크로만 하겠습니다.

*111/112번 - https://newpark314.blog.me/221452076201 (공항-성산항 급행 노선입니다.)

보시면 2개 노선이 기점/종점이 같고 중간 경유지가 다른 패턴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부분은 간선, 지선버스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엄밀히 따지면 급행버스 101번과 102번도 기점과 종점이

같은 유사 노선이지만, 101번은 제주의 동쪽으로 가는 동일주 노선이고, 102번은 서쪽으로 도는 서일주 노선이기

때문에 운행 방향이 정 반대지요.) *431/432번 - https://newpark314.blog.me/221451247034 (제주시내 지선 노선)

*411/412번 - https://newpark314.blog.me/221454096786 (제주시내 순환 노선- 역시 지선버스입니다.)

*325/326번 - https://newpark314.blog.me/221450683090 (제주시내 간선 노선입니다.)

*331/332번 - https://newpark314.blog.me/221450158930 (제주시내 간선 노선입니다.)

*510번(서귀포) - https://newpark314.blog.me/221090161010

*800번(공항리무진) - https://newpark314.blog.me/221450424132

*관광지순환 - https://newpark314.blog.me/221091115977

위 포스트들은 업로드한 지 오래된 것들이 많기 때문에 제주 버스정보 시스템에서 직접 조회하시는 게 나은데

이 때는 ' http://bus.jeju.go.kr/schedule/view/노선번호 ' 를 입력하시면 해당 노선의 시간표가 나옵니다. 

(노선번호 자리에 원하는 노선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단, 중간 경유지 시간은 도로 사정에 따라 오차가 날 수 있음.)

이 노선은 제주시를 대표하는 심야 노선인 3001번입니다. 시간대별로 노선이 약간 달라지는 점 주의 바랍니다.

반응형

제주 버스 업체별 현황입니다. 제주 지역은 업체별로 운행 노선이 정해져 있는 단독/책임배차제임을 알립니다.

10개 업체(수요응답형 제외)에서 약 800여대의 버스가 제주도 일대를 누비고 있다고 합니다.

제주 버스 체계의 핵심인 요금 체계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위 이미지에 없는 '경로 무임, 장애인 무임'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자면 제주도 버스의 노인 무임체계는 일본 대도시의 제도를 많이 베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 이유는 노인의 기준이 65세가 아닌 70세(만 나이입니다.)이고, 특정 은행(제주은행)에서 발급하는 교통카드를

받아야(즉, 제주도민만 혜택을 받을 수 있음.) 경로 무임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장애인도

마찬가지입니다. 급행버스/공항버스를 제외한 모든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라고 하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급행 버스의 현금 승차 시에는 20km 이하를 가도 최대 요금인 3000원을 내시면 됩니다.

*카드 요금은 20km 미만 2000원, 이후 5km마다 200원씩 추가되어 최고 요금이 3000원이 되는 구조입니다. *청소년은

1600원부터 시작하네요. 예를 들어 34km를 탔다 치면 성인 요금은 2600원이 되고, 청소년은 2080원이 되는 것입니다.

(즉, 급행 버스는 일반 버스와 달리 40km 이상을 이용하면 교통카드 할인이 없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단, 공항 리무진 버스는 현금승차를 하더라도, 목적지까지의 요금 그대로 내시면 됩니다.)

일반 버스는 현금 1200원, 카드 1150원이고요. 청소년/초등생의 할인 요금도 위에 나와 있습니다.

마을 버스는 추자도, 우도, 동복리에만 운행되는데 일반 버스보다 저렴한 950원(현금 1000원)을 받고 있습니다.

관광지 순환버스는 3000원짜리 1일 이용권이 있고요. 이어서 환승에 대한 부분을 알려 드리면, 제주도는 하차 후

40분 이내 다른 버스에 승차하면 환승 할인이 되는 방식으로, 일반 버스의 기본요금만큼만 할인됩니다. 이게 무슨

소리냐면 위 표에도 나와 있듯 일반 버스에서 급행 버스로 환승하면 기본료 차액인 950원이 추가로 찍힌다는 것이지요.

300x250

*제주도의 경우 제가 사는 지역에 비해 버스비가 저렴한 편임을(급행, 리무진 제외) 알려 드립니다.

http://bus.jeju.go.kr/search/line

*주소창에, 위 주소를 치시면 제주 버스의 노선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다만 각 포털사이트 지도 또는 카카오맵 어플을 통해서 더 자세한 제주버스의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이지요.

(아시다시피 카카오맵은 제주 버스가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것까지 10초 안쪽의 오차로 지원되고 있습니다.)

그럼 이쯤에서 제주 버스정보시스템 포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방문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제주도의 경우 버스 정류장에 wi-fi가 지원되는 정류장도 있고, 심지어 온열의자가 있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급행버스의 경우 대개 일반 버스보다 고급형 차량이 투입되지만, 아닌 경우도 상당히 많음을 알립니다.

*제주 동부 지역으로 가는 급행버스 중 112/122/132번의 경우 일반 간선버스와 소요시간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도로 차선 수가 왕복 2차로로 좁고, 제주 시내 버스 중앙차로 구간 대부분의 정류장에 정차하기 때문이지요.)

(사실 제주 동쪽으로 가는 급행버스는 제주 터미널이 아닌 공항 승객들에게 최적화된 수단이긴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