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부산 138번 버스 - 동남여객 (노선소개 및 탑승기) (+138-1번 버스)

반응형
728x170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부산광역시의 한 시내버스 노선을 제가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이 노선을 

제가 그 동안 개인적인 이유로 여러 번 타 보고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자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노선

번호는 '138번'입니다. 이 노선은 부산 사하구 장림동의 동남여객 차고지를 출발하여 동매역을 거쳐,

신평 배고개 경유 후 당리역, 사하역을 거치고 하단 및 동아대를 거쳐 사상구로 빨리 올라가는 노선입니다.

사상구나 부산진구 쪽에서는 '가야대로'상의 모든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합니다.

이후 서면(종점 방면은 복개로, 기점 방면은 한전앞)을 경유하여 범내골역 근처를 거친 다음 문현동 쪽으로

들어가는 노선인데 문현 지역 마을(?)쪽에 아파트 단지 하나가 새로 지어지고 있어서 이용객 증가가 

기대되는 노선입니다. 문현동을 지나면 남구청과 부산 2호선 못골역을 지나게 되는데 이후 UN평화공원과

부경대 후문 등을 거쳐 용당 및 신선대 충전소에서 회차를 하는 노선입니다. 사실 범내골 쪽에서도 이동하는

경로가 종점 회차지행과 기점 차고지행이 약간 다르긴 합니다. 인가 대수는 24대라고 하는데 보통 20~21대가

운행하는 것으로 나오고 나머지 3대 정도는 차고지에서 휴식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첫차 같은 경우

차고지에서 새벽 4시 30분에 나가며(차고지 첫차는 대개 부산의 모든 도시철도들보다 빠릅니다.) 약 1시간

15분 정도 후인 5시 45분이 회차지인 신선대 출발 첫차시간 되겠습니다. 다만 이 때는 휴식 시간이 약간

짧은 것 같습니다. 왕복 운행 길이는 약 58km으로 60km을 넘지 않습니다. 이 노선과 기, 종점이 같지만

엄궁 쪽과 서면 쪽을 빼고는 판이하게 다른 138-1번도 존재하는데 138-1같은 경우 당연히 60km를 넘깁니다.

배차 간격은 출/퇴근시간 9분 정도, 평시 10~12분, 밤 시간대 및 주말 일부시간대는 15분까지 벌어지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138-1보다는 자주 다니기 때문에 이용에 편리한 측면이 있고요. 하단 

지역에서 주례라던가 냉정 지역까지는 이 버스를 타는 것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사상-하단 경전철이 

개통하더라도 하단역이나 사상역의 설계에 따라 이 노선의 수요가 줄어들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약간 빠르고 더 자주 있는 계열사 노선의 68번이 있긴 합니다만 그래도 먼저 오는 버스를 타는 것이 

좋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럼 관련 이미지를 통해 이 노선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미지를 올리기 전에 이 노선의 부산 가야대로 주행 영상 하나 올려 드리겠습니다.

(영상은 https://tv.naver.com/v/5368444 에 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이 구간은 서면에서 감전동까지 일직선으로 잇는 구간입니다. 많은 시청 바랍니다.

(차량은 2014년식 저상버스 차량입니다.) *이미지 하단에 관련 멘트를 입력하겠습니다.

138번의 노선을 네이버 지도를 통해 찾으면 위와 같은 이미지가 나옵니다. 보시면 사하 쪽과 문현 쪽에서 약간

돌아간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 해당 지역에서 서면 쪽으로 가는 주 간선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고

합니다. 이 노선의 특징이 부산 버스들 중 왕복 6차로 이상 구간 및 평지(......)의 비율이 매우 높다는 느낌이 드는 것이고

또 일반 차량과 저상 차량이 거의 1:1로 배차되는 그런 노선입니다.(대개 일반-저상-일반-저상-... 순으로 배차되고

간혹 일반이나 저상이 2번 연속으로 배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 다음 이미지 올려 드리겠습니다. 

2019년 11월 기준 배차 간격의 경우, 위에 나온 지도보다 2~3분정도 더 길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용당 기준 첫차 시간은 5시 45분, 막차는 23시 44분입니다. *평일 기준이며, 주말에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사상-하단 지하철 공사 관계로 배차간격 지키기가 힘듬을 알립니다.

퇴근 시간대에는 위와 같이 막혀서 종점 부근에서 1정류장 차이로 2대가 붙은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문현교차로 부근은 부산 남구, 부산진구 주민분들이시라면 '상습정체'구간인 것 다 아실 겁니다.

출퇴근 시간이 끼인 경우 운행 소요시간도 왕복 기준 30~40분 정도를 더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첫차때는 1시간 10분 ~ 15분이면 뚫을 구간을 약 29km 가량을 '1시간 30분'가량 준다는 이야기입니다.

휴식시간 10분이 포함되면 기점인 장림차고지 출발 기준 약 1시간 40분이 지나서야 종점인 신선대를

출발할 수 있다는 이야깁니다. 다만 소요시간 자체는 138-1번이 더 길다고 합니다. 사실 이 회사의

경우 2000번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차량이 60km/h 부근에서 정속 운행을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수동변속기 차량은 서울과 달리 고 RPM 변속을 하긴 하며 최고 속도도 서울보다 빠르긴 합니다만

그래도 부산의 몇몇 업체들에 비해서는 그렇게 빠르다고는 할 수 없는 속도입니다. 그러나 제가

탔을 때는 60도 빠르다고 느껴진 게 뭐냐면 도로 정체에 걸렸을 때 그 정체를 뚫는 기술이 뛰어나신

분이 운전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또한 부산은 서울과 달리 정류장 의무정차가 아니라 통과하는 

정류장이 운행하면서 나오는 20개 중 한두개는 나오기 때문에 시간 단축도 될 수 있다고 봅니다......  

14년식 저상버스 차량입니다. 구도색은 뒤에 운행 업체의 이름이 크게 적힌 것이 특징입니다. 이 회사는 

'동남여객'이며 홈 페이지는 http://thebus.co.kr/d_index.html (d_ 자리에 c_면 창성여객 홈피임.)입니다.

해당 버스의 운행 기록입니다. 퇴근 시간이 살~짝 지나서 탔으며 거의 1편도 full코스를 탔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소요 시간 같은 경우 신선대 충전소부터 동매역까지 약 1시간 22분 가량이 소요되었습니다.

안전 운행을 해 주신 승무 사원님께 감사드립니다. 이상으로 이 포스트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s. 138번 타면서 68번을 서면에서 1대 잡고 주례에서도 1대 제꼈습니다.

ps2. 버스를 타실 때 문 닫고 출발하려는 버스를 무리하게 잡아서 타지 마시기 바랍니다.

ps3. 본 노선의 막차는 22시 15분에 장림을 출발하여 23시 44분에 신선대에서 나옵니다.

위 이미지에 나온 기록보다 약 5분 가까이 빠르게 운행되니 이용에 주의 바랍니다.

ps4. 138-1번 버스는 하단교차로와 동아대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입니다. 이용에 주의 바랍니다. (또한, 배차

간격도 138-1보다 긴 상황임을 알립니다.)(138번과 기점, 종점만 같고 나머지 구간은 90% 이상 다릅니다.)

보시면 일부 구간 선형이 상당히 난해합니다. 기점 부근은 어떻게 보면 338번 다대포 부분과도 약간 비슷합니다.

동쪽에 있는 아파트를 1바퀴 돈 후 사상을 향해 가며, 사상쪽 선형은 더 난해한데 괘법한신아파트,

사상초등학교는 용당 방면만 편도로 운행되며, 경전철 사상역쪽은 하단 방면만 편도로 운행하는 구간입니다.

이 선형 때문에 배차 간격이 20분 이상 벌어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고 들었습니다.

ps5. 부산 시내버스의 경우, 명절 기간에는 평소 운행차량의 절반 정도만 다니게 됩니다.

(따라서 이 노선도 배차 간격이 25~30분 간격으로 벌어질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