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부산 61번, 161번 버스(사하구/서구 ↔ 사상구) - 영신여객

반응형
728x170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부산 사하구나 서구 지역에서 부산 사상구 서부터미널(사상역)까지

빠르게 이어주는 61번과 161번 버스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 두 노선의 운행 업체는

'영신여객'이며 기점과 종점은 두 노선 모두 동일하나 중간 구간이 판이하게 다름을 알립니다. full

탑승 시 두 노선 모두 장/단점이 있는데 61번 같은 경우 남포동-부산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그 곳에서

수요가 나오는 편이고 161번은 신평역/장림 인근에서 수요가 많이 나옵니다. 그럼 바로 관련 이미지를

올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이미지 하단에 관련 멘트를 입력하며, 일부 이미지는 원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선 161번 버스입니다. 61번과 달리 신평역 근처를 지나가긴 합니다.

사하구 지역을 많이 훑은 다음 서구청을 경유하고 바로 구덕터널로 가는 버스입니다.

차종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 CNG 고상 차량입니다.(2015년식이라고 하네요.)

사상까지의 정류장은 이러합니다.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이라고 된 곳은 경전철 사상역입니다.

즉, 2호선 사상역이 아닌 경전철 사상역을 거쳐서 돌아 나간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정류장 수는 

약 55개 정도 되는 것 같으며, 정류장 간 소요시간은 1분 정도(구덕터널 구간은 4분)입니다.

사상역에서 신평 방향 정류장입니다.(원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노선이 사상역을 거쳐 돌아 나가는 첫차 시간은 아침 6시라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이것이

단독 배차제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중간 회차지에서 첫차가 너무 늦어지는 것이 문제라고 

봅니다. 옆동네(?)인 창원 지역에서는 다른 구 소속의 버스들이 공동 배차하여 기점과 중간 회차지의

첫차 시간이 완전히 같은 노선도 있는데 이렇게 1시간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은 문제라고 봅니다.

보시면 주요 경유지는 서부터미널-감전역/사상구청-학장교차로-구덕고/구덕초-동대신역-토성역-

서구청-남부민시장-고신대병원-감천동-구평-장림-동매역-신평차고지 순으로 되어 있습니다.

편도 소요시간은 1시간(첫/막차시간)~1시간 20분 이상(출퇴근)을 주는 것 같습니다.

161번을 보시면 기점 주변이 이렇게 난해한 선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순환형 노선은 위와 같이 정류장별로 번호를 붙이면 설명이 잘 됩니다.

사상방면 버스는 1번에서 2-1번을 거치지 않고 바로 2-2, 3, 4, 5번으로 해서 빠져나가고

신평 차고지에 종착하는 버스는 6, 5, 4, 3, 2-2, 2-1, 1을 역순으로 모두 경유하는 차량입니다.

1번은 신평시장, 2-1번은 동성화학(차고지 종착차량만 경유), 2-2번은 신평2동교차로,

3번은 아시다시피 동원로얄듀크 아파트이고 4번은 장림1동, 5번은 장림우체국 정류장입니다.

161번의 전체 선형입니다.

61번 뉴슈퍼에어로시티(2014년식이라고 합니다.)

사실 이 구간이 차가 굉장히 많이 막히는 구간인데(신호가 매우 짧습니다.) 

향후 '천마산터널'이 개통되고 지하차도까지 개통되면 나아질 지 모르겠습니다.

61번은 161번보다 정류장 수가 약~간 적습니다.(사상 방면 노선입니다.) 정류장 사이사이의 색깔은 

해당 구간의 교통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황색이나 빨간색이면 차가 많이 막힌다는 뜻입니다.

사상까지의 소요시간은 구덕터널을 타는 161번과 같다고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이 노선은

동매역이나 신평동으로 가지 않고, 일직선 구간인 가야대로를 꽤 길게 타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짧아지는 것입니다. 신평동 정류장은 기점 1곳밖에 없지만 차량 행선판에는 '신평'이라는 글자가

잘만 쓰여져 있는 것이 이 61번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요약해 드리자면

사상역에서 부산역, 신평 쪽으로 가는 첫차는 아침 6시 또는 그 이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사상에서 신평 쪽으로 내려오는 노선도입니다.(원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시다시피 이 노선은 '부산역'쪽에서

'사상역, 서부터미널'로 가는 노선으로 잘~알려져 있지요. 서면을 경유하지 않고 가기 때문에 약간 빠릅니다.

주요 경유지는 '사상역(경전철)-주례, 냉정, 개금, 가야역, 부산CBS, 범천동, 부산진, 초량, 부산, 중앙역,

남포동, 송도입구, 고신대병원, 감천사거리, 구평, 신평입니다. 61번과 161번 두 노선 다 배차 간격은 

평일 7~8분, 공휴일 10분, 명절 15~20분으로 매우 자주 다니는 편입니다.(138번 계열보다 더 자주 다님.)

61번의 대략적인 선형을 나타낸 지도입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이 버스 노선의 업체 정보는 http://bus.busan.go.kr/ 에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부산은 버스 준공영제 지역이므로, 업체보다는 부산광역시에 직접 민원을 넣는 것이 좋겠습니다.

위 사진은 부산 동남여객의 장림영업소(앞 정류장)에서 찍은 것으로,

우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두 가전 브랜드 사이에서 61번과 161번이 튀어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 사진 가운데를 자세히 보시면 '신평'이라는 정류장이 딱~나오고 있습니다. 61번 같은 경우 빠져 나올 때

좌회전으로 빠져나오고 161번은 우회전을 해서 신평동, 장림동 쪽으로 들어가도록 노선이 짜여져 있습니다.

이상으로 부산 61, 161번 버스 노선 소개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블로그 방문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