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김제시외버스터미널(김제종합버스터미널) 시간표, 요금 정보 - 2023년 버전

반응형
728x170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평야 등으로 유명한 전북 김제시의 김제종합버스터미널 시간표를 올려 드리겠습니다. 여기

 김제의 경우 김제시외버스터미널이라는 명칭도 같이 표기했습니다. 원래 시외, 고속버스터미널이 분리되어 있었습니다만

 통합된 지도 벌써 10년이 넘은 듯 합니다. 원문 촬영 당시보다 인구가 500명 정도 늘어 난 점 신기한데 각종 지원금 정책의

 영향이 큰 듯 합니다. 이 터미널의 경우 김제 시내 한 가운데에 있어 수요가 많은 편입니다만 익산, 서울, 정읍 방면은 철도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은 듯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이미지 하단에 이미지와 관련된 멘트를 작성하겠습니다.)

터미널 출입문에는 '김제 종합 버스터미널'이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외지인 입장에서는 시외버스터미널이라는 

명칭이 익숙할 것 같아서 김제시외버스터미널을 제목 표제어로 적었습니다. 이 터미널의 경우 규모는 작았으나 오락실,

편의점 등 있을 것은 다 있는 터미널입니다. 전라북도 지역의 경우 '문화터미널 ○○'이라는 명칭을 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제대로 정착된 곳은 남원시 정도 말고는 없는 것 같습니다. '문화터미널 김제'라는 명칭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이 터미널의 경우 최근에 시간표를 올려 주신 분들이 꽤 많았는데 시간표 촬영 난이도가 높지 않고 요금표도 

보기 쉬워서 많은 분들이 촬영하는 것 같습니다. 특정 노선에 대한 추가 설명 및 이용 시 주의점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여기 김제의 경우 김제가 기점인 차는 별로 없고 타 지역에서 출발하여 김제를 경유하는 방식의 버스들이 대부분입니다.


728x90

1. 전주, 익산, 군산 방면

 원문 사진은 작년 말에 찍었습니다만 시간표 자체는 23년 3월에 개선된 버전입니다. 전주행의 경우 첫 차 720,

막차 2230분입니다. 하루 29회 정도 배차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코로나19가 이전에 안전여객이라는 버스 업체가 

경영난으로 인해 운영을 포기했기 때문에 크게 감차된 것이며 인구 감소 및 코로나19인해 추가 감차된 상태로

지금까지 온 것입니다. 전주행의 경우 탑승한 다른 분의 이야기를 들어 보니 거리는 짧은데 1시간이나 걸린다는

이야기가 있었고 제가 탔을 때도 55분 가까이 걸렸습니다. 전주 완산구 지역 여러 곳을 경유하기 때문에 그런 듯 

합니다. 전주 교육청, 효자동 쪽으로 가실 분들께서는 이용을 권장합니다. 배차 간격은 15~1시간 정도로 적당히

있습니다. 전주행은 부안 쪽에서 올라 오는 차들로 추정됩니다. 950분 차를 놓치면 꽤 오래 기다리셔야 다음 차가

있는 점 주의 바랍니다. 9시 50분 차 외에는 15~45분 간격으로 나름 자주 배차되고 있습니다. 익산, 군산행이 전주

노선보다 첫 차가 빠른 점 신기합니다. 익산의 경우 시간대에 따라 철도 이용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전주 중 덕진구

쪽이 목적지이신 경우 익산까지 가셔서 다른 차로 갈아 타셔도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아래에 언급할 전북도청행 시내

버스를 타는 것이 가장 좋다고 봅니다. 익산행 16, 군산행 9회 정도 있고 군산대행은 등교 시간에 1회 있는데 방학

기간에도 운행하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전주시, 익산시, 군산시를 묶어 전북 3대 도시라고 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서울 노선 오후 배차는 평일과 주말이 다르니 주의 바랍니다.

2. 부안, 고창, 동서울, 인천, 서울호남, 인천공항

 여기서 하루 배차가 가장 많은 노선은 부안행입니다. 전주 뿐만 아니라 익산, 군산 등에서 출발한 차도 여기 김제를 거쳐 

부안으로 가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부안행 중 일부 차가 곰소, 격포, 고창 등으로 운행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부안 

첫 차는 7시 20분, 막차는 22시 45분입니다. 5~40분 간격으로 자주 다니고 있습니다. 수도권 노선은 동서울, 인천, 서울

 방면이 있는데 서울 강남 센트럴시티 노선도 과거에는 고속버스였으나 지금은 애통리와 전북 혁신도시를 경유하는 전환 

시외버스 노선이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동서울행 3, 인천행 1회 있습니다. 인천공항 노선의 경우 23년 하반기인 7월 

 정읍과 합쳐 재개하여 일 2회로 운행합니다. 개인적으로 정읍, 광주행 노선이 없는 점 아쉬운데 철도를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동서울 노선은 5시간 간격으로 나름 규칙적으로 배차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영남권인 대구 방면도 표기되어 

있었습니다만 실제로는 배차하지 않고 있어서 전주행 차를 타신 후 전주에 가서 환승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좌석 예매는 

동서울, 인천행 시외버스는 'https://www.bustago.or.kr' 서울 강남행은 'https://www.kobus.co.kr'에서 하시면

될 듯 합니다. 서울 강남 노선의 경우 금호고속에서 배차 중인데 실제 배차 횟수는 하루 4회입니다만 토요일에는 

840분 차가, 금요일은 14시 정각 차가 추가되기 때문에 하루 5회 운행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더 편리한 이용이 

될 듯 합니다. 해당 시간대 옆에 배차하는 요일이 적혀 있습니다. 김제종합버스터미널 노선들 많은 이용 바랍니다.

김제시청 측에서 인상 요금을 올리지 않아서 타 지역 출발 김제 도착 노선을 노가다로 찾아서 적은 것입니다.

3. 김제종합버스터미널 노선별 요금표

우선 미성년자 요금은 예매 사이트 또는 현장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주 노선의 중간 경유지까지는 전주 터미널보다 

저렴하게 받고 있습니다. 저는 이 부분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만 이렇게 중간 경유지까지만 타도 터미널 요금과 똑같이 

받는 경남, 울산 등의 지자체는 반성해야 할 부분 같습니다. 다만 경남의 경우 어느 정도 개선한 곳도 있습니다. 교육청은 

서부효자동 정류소이며 교육청 이후 3~4곳의 중간 정류지들은 완산동 요금을 내시면 되는데 터미널보다 600원이나 싼 듯

합니다. 전주행의 막차는 심야 요금이라 터미널 4700원, 완산동 4100원, 서부효자 3500원 정도를 받고 있는 듯 합니다.

 익산, 부안의 경우 국도 요금이지만 거리가 생각보다 많이 가까워서 3000원으로 저렴한 편입니다. 전주는 4300, 군산 

4600, 고창 8200, 인천 18700, 서울 방면은 모두 24400원을 받습니다. 정안휴게소 까지는 12300원을 받습니다.

 (전주는 김제역 앞을, 익산은 김제시청 앞을 추가 경유하기 때문에 해당 경유지에서 타시는 분들도 꽤 많이 있다고 봅니다.)


300x250

촬영 당시 터미널에 눈이 꽤 많이 쌓여 있었습니다.

4. 김제종합버스터미널에 들어 오는 버스들

이 터미널을 이용하는 전주고속의 유니버스 엘레강스 Euro 6 차량과 금호고속의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썬샤인

Euro 6 차량입니다. 두 차량들 중 전주고속 차량은 부안-곰소행, 금호고속 차량은 서울 센트럴시티행 노선입니다.

자료 출처 - 김제시청, 카카오맵 (터미널 주소는 지도의 우측 하단에 적어 드렸습니다.)

5. 전북혁신도시-전주대-도청 방면 시내버스, 터미널 주변 지도

개인적으로 전주행 시외버스 첫 차가 너무 늦게 있다고 생각했는데 해당 부분에 대한 대안이 하나 있었습니다. 이 터미널 

맞은 편에서 오전 6시 20분쯤에 운행하는 전북도청행 26번 시내버스를 타시면 되는데 26번의 경우 하루 15회쯤 다니며 

모다아울렛, 전북혁신도시를 경유합니다. 도청까지는 2700원을 받는데 카드 이용 시 50원~100원 정도 할인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터미널 경유 예상 시간은 6시 20분부터 20시 50분까지입니다. 표기된 시간의 '10분 후'에 터미널을

 경유한다고 봅니다. 여기 김제종합버스터미널(김제시외버스터미널)의 주변 지도를 올려 드리고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터미널 주변에는 행정복지센터, 학교, 주거지 등이 많았습니다. 다른 포스트에도 언급하겠지만 김제역 바로 위에 있는

초등학교의 이름이 정말 인상깊습니다. (개인적으로 '지역명+방위명'의 초등학교는 명칭을 바꿔야 한다고 봅니다.) 그럼

 이 쯤에서 김제종합버스터미널 포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들숨에는 건강, 날숨에는 재력을 얻어 가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