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김해여객 시외버스 교통카드 사용 관련 안내 (장유→부산사상, 장유→마산 등)

반응형
728x170

*본문의 원문은 https://blog.naver.com/newpark314/221190251646입니다.

 

김해여객 시외버스 교통카드 사용 관련 안내 (장유→부산사상, 장유→마산 등)

​ *교통카드 기계가 안 되는 차량이 있거나 운행 기사가 매우 불친절한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이 ...

blog.naver.com

2018년 1월에 작성한 글이긴 합니다만, 지금도 정보 가치가 있어서 올려 봅니다. (일부 내용은 수정함.)

*현재 김해여객이 면허 말소가 된 관계로, 다른 업체의 차량이 본 노선에서 정식 운행 중인 상황입니다.

*22년 11월에도 한 차례 요금 인상이 있어서 아래 요금표보다 200~300원 더 내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 *교통카드 기계가 안 되는 차량이 있거나 운행 기사가 매우 불친절한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는 업체의 차량 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경우로 경상남도 교통물류과에 신고해 주시면 됩니다...


728x90

안녕하십니까? 저는 최근 어떤 기사 하나를 접했고 기사 내용이 사실인지 아닌지 직접 확인하였습니다. 

그 내용은 '경남 시외버스 교통카드 확대'인데요. 사실 기존에는 아주 극소수 시외버스 노선들만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2018년 1월 18일부터 경상남도 지역의 대부분 버스 업체들이 

교통카드 단말기 사용을 시작했다는 소식이 나온 것이지요. 사실 시외버스 노선들의 대부분이 매표소에서

표를 구입한 후 탑승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의미없는 제도일 수도 있습니다만 카드 단말기를 통해 기사님이

정류장 안내방송, 안전 안내방송(출발지에서만) 등을 실시할 수 있어 좋은 것 같습니다. 그럼 바로 관련 

이미지를 올려 드리면서 이용 방법과 주의 사항에 대한 이야기를 해 드리겠습니다. *이미지 하단 멘트 입력.

경남시외버스보도자료_2018년

많은 언론에서 1월 17일부터 시작된다고 기사를 냈는데요. 사실 업체별로 상황이 달라서 어떤 업체는 

1월 18일부터 시작한 곳도 있고 아직 사용 안하는 곳도 있습니다. 좌석제 노선들은 실시하는 지 잘

모르겠고요. 이 기사를 보면 틀린 부분이 꽤 있는데 '모든 교통카드' 가 되는게 아니고 제가 소개할 

'김해여객'기준으로 말씀드리면 '티머니'와 '씨티카드'가 사용 불가능합니다. 다만, 이 내용은 2018년

기준이라 2020년 기준에서도 티머니, 씨티카드가 사용 불가인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확인 바랍니다.

사실 경남쪽에는 티머니보다 캐시비가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제가 알고 있는데 앞으로 김해 장유

지역에서 사상이나 마산, 진례, 진영 등지로 갈 때는 캐시비나 각종 후불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김해여객 차량 사진, 승차권 사진, 단말기 사진 입니다.

-저의 후불교통카드(BC)는 해운대고속에서는 안 되고 김해여객에서는 잘만 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 이후 해운대고속도 단말기가 교체되어 사용 가능해졌을 겁니다. 다만 결제 방식이 약간 다릅니다.) 

김해여객 뉴그랜버드 그린필드 7521 (41석)

김해여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뉴그랜버드 그린필드 차량(14:15에 장유 출발-27분만에 사상 도착함.)

*본 차량은 45인승이 아닌 41인승 차량이라 장유농협에서 탈 경우 좌석이 없을 확률이 높습니다.

-교통카드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김해여객 기준으로 업체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① 승차시 한 번 태그한다.(승객분이 여러 명이거나 청소년, 어린이일 경우 기사님께 단말기조작 부탁 필요.)

② 하차 시에 한 번 더 태그한다.(중요!!!) 이게 중요한 이유는 승차 시에는 0원만 찍히고 하차 시에

해당 구간의 요금이 찍히는 방식이라 그렇습니다. 따라서 하차 시에 카드를 찍지 않고 내리면 무임승차가 

되는데요. *김해여객의 장유-사상 노선 기준 하차태그를 하지 않으면 다음 승차시에 벌금 '5000원'이 

찍히게 됩니다. -위에도 말했지만 김해여객은 티머니, 시티카드 사용 안됩니다.(그 외 교통카드는 사용가능)

*반면, 김해여객보다 먼저 교통카드제를 실시했던 경기도의 시외버스들과 경남 지역 타 시외버스 업체들은

대부분 승차 시에 행선지를 말하고 요금을 계산하는 방식이라 김해여객과는 요금 계산법이 전혀 다릅니다.

*단, 김해여객의 경우에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승차할 때에는 탈 때 일괄로 요금을 계산한다고 합니다.


반응형

사상-신월 승차권

신월은 '김해시 진례면'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인데요. 이 노선 역시 김해여객이 운행합니다만 매표소가 있는 

터미널이므로 교통카드 사용이 안 됩니다.(설령 되더라도 매표소에서 표를 구입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오후 3시 차량을 타고 출발했습니다.(차량 사진은 없습니다.) 최근 이 노선이 사상 출발 전에 기사님께서

표를 걷는 방식에서 내리기 직전에 표를 기사님께 주고 내리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위 차량은 진영이

종점인 차량에 해당되는 사항이고 장유 종점 차량은 모르겠으며 그 외 운행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저는 신월을 지나 진례면 중심지(농협)까지 가서 400원을 더 지불했습니다.(사상-진례는 2900원입니다.)

기본요금결제

김해여객 차량의 카드 단말기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재작년에 도입했던 다른 업체(해운대고속)과는 

다른 단말기입니다. 장유-사상은 1900원인데 위 사진은 1300원입니다. 진례에서 장유 구간을 이용했기

때문인데요(기본요금). 휴대폰 셔터가 잘 눌러지지 않는 바람에 사진도 망하고 내리는 것도 늦었습니다. 이 

차량을 운행하셨던 기사님께 매우 죄송합니다. (노선은 마산-'진례'-장유 노선이고 16시 마산출발 차량임.)

저는 진례부터 탔고 장유 코아상가까지 약 13분 소요되었습니다. 승객들이 꽤 많았습니다......

장유-사상 뿐만 아니라 김해여객의 다른 노선들(좌석제, 매표소 제외)도 승차 태그-하차 태그 

식으로 교통카드 결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현금이 없는 분들한테 상당히 유용한 시스템 같습니다.

-다만 시내버스와 달리 교통카드 할인 없습니다.(진례-장유 기준 44번은 1250원, 위 버스는 1300원임.)

김해여객 뉴그랜버드 그린필드 7361 (45석)

해당 차량 사진. 이상으로 '김해여객 교통카드 시스템 소개' 포스트를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00x250

ps. 실질적으로 이 제도가 도움이 되는 지역은 김해 장유/진례, 창원 진해, 밀양 일부 지역 말고는

없는 듯 합니다. (그 외 나머지 지역들은 매표소에서 승차권을 사고 승차하기 때문입니다.) 

ps2. 최근 해운대고속도 카드단말기를 교체한 관계로 요즘은 티머니가 안 되는 듯 합니다.

부산/경남 동부 지역은 아시다시피 티머니보다 캐시비의 점유율이 훨씬 높아서 그런 듯 합니다.

ps3. 장유→사상 노선의 경우 어차피 1900원 단일요금이기 때문에 기사님께서 1900원을 미리 입력해 

놓고 승객들이 탈때 요금이 찍히게 하는 분도 계셨습니다. 이 경우 내릴 때 카드를 찍지 않으셔도 됩니다.

ps4. 2019년 3월부터 장유 지역 요금이 이상하게 바뀌어서 부영2차(갑을병원)는 사상까지 2300원,

코아상가는 사상까지 2200원, 무계농협은 사상까지 2100원으로 바뀐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김해여객식 교통카드 태그 방식이 100% 옳다고 보시면 되는 것이지요. 많은 이용 바랍니다. *요금 체계가

이상한 게 아니라, 김해여객이 맞고 경남 지역 타 업체들이 틀린 것입니다. (중간경유지 경유 요금 관련.)

2019년 3월에 인상된 요금표입니다. 장유에서 사상가는 주간 첫 차는 06시 20분 내지 06시 30분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막차는 밤 9시 30분(이후 심야버스)인 듯 하며, 반대로 사상에서 장유 첫 차는 06시에 있고 막차는

22시 05분(이후 심야)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배차 간격은 현재 15~20분이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상에서 여러 사람이 같이 이용하는 경우 개인 교통카드를 하나씩 보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개인 교통카드가 없는 경우에만 매표소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실제로 김해여객의 교통카드제 도입

이후 사상터미널 매표소 줄이 매우 짧아졌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정확하게 맞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해여객 노선의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운행 횟수가 감차되었음을 알립니다.

(특히, 심야 버스 이용 시 유의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