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의 원문은 https://blog.naver.com/newpark314/221948418024 입니다.
[경기도 공공버스 시리즈 #1] G2001(연천-도봉산), G2100(이천-잠실), G8808(부천-광명역) + 3개 노선들의 아쉬운 점
#경기도, #시내버스, #준공영제, #노선입찰제, #이천, #연천, #부천, #G2001, #G2100, #G8808안녕하십니...
blog.naver.com
본 포스트는 2020년에 작성한 글로 여러분들이 보는 시점과 전혀 다른 내용인 점 미리 밝힙니다.
안녕하십니까? 경기도에서 수백km 떨어진 곳에 사는 제가 경기도 버스를 리뷰한다는게 어찌 보면
상당히 이상한 일일 수도 있으나 어쨌든 저의 블로그 주제에 맞고, 상당히 흥미로운 주제라 이번에
개통된 경기도 공공버스 시리즈를 3개~4개 편으로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시리즈 1편으로
경기도식 노선입찰제라는 준공영제를 소개하고 지명에 '천'이 들어가는 곳의 3개 노선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부터 올려 드리고 하단부에 관련 내용을 이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경기순환버스' 중 한 노선이 이번 경기도 공공버스 노선에 편입되었는데, 4편에서 언급해 드리겠습니다.
이미지를 확대하니 화면이 흐려졌는데, 2020년 상반기부터 개통한 '경기도 공공버스'의 로고입니다.
원래 새경기준공영제 라는 브랜드로 시작했으나 경기도형준공영제 로 한 번 명칭이 바뀌었고 이후
경기도공공버스 로 정착되었다고 합니다. 급행버스에는 앞에 G를 붙인다고 합니다. 이렇게 개통한
버스에는 위와 같은 마크가 붙고 운전기사님의 제복, 친절도 등도 기존 노선들과는 다르다고 합니다.
우선 버스 준공영제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민간 업체의 재정난에 따라 대두되고 있는 방식으로, 노선의 운행은
버스 업체가 하고 노선 관리 및 수익금 배분은 지방자치단체가 하는 방식, 더 나아가서 지방자치단체가
운행 업체를 입찰하여 노선을 결정하는 입찰제 방식이 있는데 경기도에서는 이 방식이 채택되었다고 합니다.
제가 요약해 본 경기도 공공버스 노선입찰제 개요도입니다. 현재 의정부 지역에 소재한 '경기교통본부'에서
이 경기도 공공버스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요 조사 및 사업타당성 검토 후 지자체 간 경유지
협상을 먼저 하고 운행원가까지 결정 후 운행 업체를 입찰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M버스와 마찬가지로
시내버스 업체 뿐 아니라 전세버스 업체도 입찰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M과는 달리 해당 기초지자체에
연고가 있는 업체만 입찰이 되어(예를 들어 김포 노선이면 김포시 업체만 입찰 가능.) 경북 지역 업체가 경기도
경기도 M버스를 입찰 시도했던 일이 있었는데 이번 공공버스에서 이런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일례로, G2100번같은 경우 경기/대원고속이 '이천시내버스'라는 별도 법인을 세워서 만든 것임을 알립니다.
이 공공버스의 신설 목적은 크게 3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소외지역 배려','비수익 노선 반납','택지지구 개발,
고수요처 노선 신설' 등인데 본 포스트에 언급할 노선 중 이천, 연천 노선은 '소외지역 배려'로 신설된 노선이고,
나머지 부천 노선은 기존에 넷버스여행사에서 운행했었던 '비수익 노선 반납'으로 신설된 노선입니다. 위에도
적었듯 운영 기간은 5년이고 서비스 평가를 해서 4년 연장시킬 수 있다고는 하는데 5년 지난 시점에 업체에서
자발적으로 노선 운행을 중단할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고 봅니다. 연천 같은 경우는 1호선이 연천까지 연장되는
시점에 맞춰서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부천-광명은 지금도 딱히 수요가 많지는 않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우선 G2100번 같은 경우 이천시 지역에서 잠실 환승센터 24번 게이트로 운행되는 노선입니다.
KD운송그룹 계열사인 이천시내버스에서 운행하기 때문에 자일대우버스 FX116 하모니 41인승 차량이
투입됩니다. 이번 경기도 준공영제의 차량 조건이 무조건 가스차여야 하고, 31인승 또는 41인승 차량에
USB 충전포트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충전 포트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참고로
제가 알기로는 일반 고상 시내버스에 USB 포트가 최초로 설치된 사례는 대전 1001번으로 알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저상 전기버스에도 USB 충전 포트가 달려 나오더군요. 참 신기합니다.) 전 구간 요금같은 경우
공식 블로그에서도 2800원으로 잘못 알려주는 경우가 있는데경기도 버스의 경우 카드 탑승 시에는
하차태그를 반드시 해야 하며 이 때 추가요금 500원이 찍혀서(이천-잠실 이용 시) 3300원이 되는 것입니다.
다만, 이천시/서울시 구간만 이용할 시에는 2800원이 맞다고 합니다.(이천역-도암IC는 제외.) 보시면
이천 지역에는 7개, 서울 지역에는 8개의 정류장이 있는데 1개 지자체에는 최대 8개의 정류장까지 신설
가능하다고 합니다.(다만, 어딜 가나 예외는 있는 법으로 모 노선은 1개 지자체에 10개의 정류장이 있음.)
이 노선의 선형이 상당히 좋아서 평시에는 이천-서울 구간을 경강선-분당선 환승보다 빨리 갈 수 있다고 합니다.
경기도 GBIS 사이트에 가셔서 G2100을 검색하시면 중간정류장의 이름과 코드 번호가 나옵니다.
서울 지역의 경우 잠실 환승센터를 제외하면 대로 중앙차로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한다고 합니다.
이천의 경우 이천터미널 정류장은 터미널 바로 앞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한내과의원 옆(서울행),
sc제일은행 앞(이천 하차지)에 있으며 이천보건소의 경우 특이하게도 도로 가운데 보건소가
있고 양 옆에 승하차 정류장이 따로 있는 형태입니다.(이천 하차지는 kcc스위첸과 가깝네요.)
이 노선의 수요가 상당히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다만 코로나19로 인해 동서울-이천 구간
시외버스가 감차된 것도 수요 상승에 한몫 했을 겁니다.) 구글에 이 노선을 검색하시면 많은
분들이 찍어 둔 사진이 나오고 유튜브를 통해서도 많은 분들이 이 노선 영상을 올린 것으로 압니다.
*이 노선의 경우 2020년 6월 15일부터 가천대역 EX-HUB 정류장(고속도로 상 정류장)을
거쳐 운행된다고 합니다. 해당 정류장에서 경기 북부행 외곽순환버스로의 환승이 가능하며,
이천-성남 구간의 경우에도 편안하게 착석하여 이동할 수 있을 것 같음을 알려 드립니다......
*이천 지역에서 서울 출퇴근 및 롯데월드 관광에 유리할 노선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G2100번 노선의 경우 이천역 출발 시간 기준 평일은 하루 42회 운행되고, 토요일은 하루 38회, 일요일은 하루
34회로 운행되고 있어서 경기도 공영버스들 중에서는 하루 배차 횟수가 많은 편에 속한다고 봅니다. 잠실 쪽 출발
시간은 위 시간에서 1시간 10분 내지 1시간 20분을 더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GBIS 사이트에 나온
잠실역 막차 시간은 23시 40분 출발이라고 합니다. G2100번 노선 많은 이용, 발전 바랍니다......
이어서 연천군 연천교통에서 운영하는 G2001번도 마찬가지로 '소외지역 배려'목적으로 신설되었습니다.
이 노선은 연천, 동두천 정류장 6개, 의정부, 서울 정류장 6개가 합쳐진 형태로 총 정류장이 12개인 형태입니다.
연천, 전곡터미널 정류장은 양 방향 노선이 한 곳에 동시에 정차하기 때문에 방향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전 구간 요금은 G2100보다 100원 비싼 3500원(현금 3600원)입니다. 경기도 시내버스의 경우 기본요금에서
700원까지만 추가 구간요금을 받을 수 있다는 룰이 있어서 카드 기준 3500원 위로는 올라가지 않는 듯 합니다.
위에는 연천이라고 적었지만 실제 기점은 연천터미널 위에 있는 신탄리역으로 첫차 시간이 04:30으로 매우
빠릅니다. 신탄리에서 도봉산까지는 1시간 50분~55분을 주고 조금 쉬었다 출발하는 것 같습니다.....
연천 구간은 신탄리역, 대광리역, 연천터미널, 전곡역으로 총 4곳이네요. 중앙고등학교 정류장은 지행역 동편에
있습니다. 의정부 쪽 정류장은 성모병원, 의정부터미널, 의정부역, 회룡역, 망월사역으로 총 5곳입니다. 의정부
터미널에서 동두천 지행으로 가실 때 이 버스를 이용하면 유용합니다.(의정부-동두천 구간 버스의 경우 하루에
5차례 정도 운행되는 이천~연천 구간 시외버스가 있습니다만, 코로나19로 운행하지 않고, 추가로 3300번이
의정부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의정부~동두천 구간 시외버스가 없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주 목적은 연천군 주민, 군인들을 의정부, 서울까지 안전하게 모시는 것입니다. 이 노선의 시간표 올립니다.
하루 총 23회 운행됩니다.(운행 대수가 4대라 24회로 맞춰질 수 있었는데 약간 아쉽네요.) 보시면 첫차가 상당히
빠름을 알 수 있는데, 신탄리역 기준이고 연천 기준으로는 약 4시 45분 내지 4시 50분에 첫 차가 운행될 것이고,
전곡 기준으로는 새벽 5시쯤이 첫차 시간일 것입니다. 첫/막차의 휴일 운행 여부는 연천교통 쪽에 문의하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 시간표는 신탄리역 기준이고 도봉산역에서 올라 가는 시간표는 위 시간에서 2시간을
더한 시간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도봉산 기준 첫차는 아침 6시 30분이고 막차는 00시 30분입니다.
이 노선에서 아쉬운 점은 첫 째로는 31인승 우등버스가 아니라는 것이고(연천교통 관계자님 입장에서는 매우
황당한 소리겠으나, 이 노선 개통 하루 전까지도 이 G2001에 우등을 출고했다고 알았던 버스 동호인들이 꽤
있었습니다. 왜 그런 소문이 퍼졌는 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41인승도 상당히 넓긴 합니다만 좌석폭이 넓은
31인승을 출고했으면 편안함을 무기로 전철과 경쟁이 되어 지금보다는 더 탔을 확률이 높았을 겁니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군인 외출외박 제한, 의정부 성모병원의 이슈 때문에 수요가 없다고 합니다만
제가 본 수요가 별로인 이유는 90%가 '우등이 아니라서'입니다. 나머지 10%는 '소요산역'에 정차하지
않아서 소요산 등산 수요를 잡는 데 실패한 것인데, 이는 동두천 버스가 아닌 연천 버스라 어느정도 참작할
여지는 있습니다. *이번 경기도 공영버스에서는 파주 쪽 단 2대만 31인승 준우등 버스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비수익 반납 노선인 G8808번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한 줄로 요약해 드리면
광명역에서 부천 송내역으로 가는 노선이 부활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미지 올려 드립니다.
운행 업체는 부천 소신여객으로 유니버스 럭셔리 차량 4대로 운행합니다. 선형은 예전 8808번과 거의
유사합니다. 시흥영업소 중간 정차까지 동일합니다. 송내에서 광명역까지는 약 35~40분이 소요될
예정이라고 하나, 출/퇴근 시간에는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부천 기준 첫 차 시간은 5시 30분,
광명 기준 첫차 시간은 6시 5분입니다. 요금은 카드 기준 2800원, 현금 기준 2900원임을 알립니다.
송내역 남부 광역버스 정류장(위치는 정류장 번호로 확인 바랍니다.) 기준 30분 간격으로 평일 기준
하루 32회 배차되며, 주말 및 휴일에는 하루 24회 배차되는 노선인 점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송내역 기준 첫/막차시간만 아시면 중간 배차 시간표가 따로 필요 없는 구조입니다.)
(다만, 교통 정체 시 운행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 노선의 아쉬운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 지도에 그은 노선은 말 그대로 저의 망상일 뿐 실현 가능성이 없음을 알립니다.
첫 번째 아쉬운 점은 부천 상동(터미널 인근)을 경유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8507번의 서울대 경유처럼
편도로 순환하는 노선을 만들면 어떻겠냐는 발상입니다. 두 번째 아쉬운 점은 기존 8808번의 회차지였던
광명역 지하 정류장에 들어가지 않고 5번 출구에만 정차한다는 것인데 이케아나 코스트코 근처에 정류장을
하나 더 넣어서 8507번과 마찬가지로 해당 마트들의 쇼핑 수요를 노려 보면 어떻겠냐는 취지로 그어 봤습니다.
이상으로 경기도 공공버스(경기도 급행버스) 시리즈 1편 포스트를 모두 마칩니다. 블로그 방문자님들께 감사합니다.
PS. 연천 지역의 경우 어르신들 한정으로 선진고속관광의 셔틀버스를 이용 후, 1호선을 타시면 매우 저렴한 요금으로
의정부나 서울까지 내려갈 수 있기 때문에(셔틀버스는 통근열차 운임이라 일반인도 1000원입니다.) G2001의 이용객이
적다는 것이 학계 정설입니다.(셔틀버스 이용 시 동두천역이 아닌 소요산역에서 환승하셔야 시간이 단축된다고 합니다.)
PS2. G2100(이천), G8808(부천)의 경우 경기도 버스정보에서 조회하면 잔여좌석 정보가 나오고 있음을 알립니다.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부 버스 동호인들의 편견] 버스 매니아(버덕)들만 차급, 옵션(USB 포트 등), 연식을 따진다? (0) | 2020.05.22 |
---|---|
[경기도 공공버스 시리즈 #2] G9311(용문, 양평-잠실), G6000(의정부-잠실), G6009(화성 동탄-잠실) (0) | 2020.05.10 |
김해여객 시외버스 교통카드 사용 관련 안내 (장유→부산사상, 장유→마산 등) (0) | 2020.04.30 |
코로나19 관련 시외버스, 고속버스, 열차 이용 시 유의사항(이동 시 되도록 자가용 타십시오.) (0) | 2020.04.29 |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전국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감차 안내 및 김해 시내버스(1, 8-1번, 140번 등) 감차 안내(+5월로 개학 연기되었습니다) (0) | 2020.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