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구 관련/그 외 야구팀, 야구 관련 은어

[야구 관련 사이트] 비더레(비 더 레전드, 레전드닷컴), 스트존(심판 스트라이크존 분석 사이트), KBORC(비디오 판독센터)

반응형
728x170

*본 포스트의 원문은 https://blog.naver.com/newpark314/221973233318입니다.

 

[야구 관련 사이트] 비더레(비 더 레전드, 레전드닷컴), 스트존(심판 스트라이크존 분석 사이트),

#야구, #프로야구, #KBO리그, #비더레, #비더레전드, #스트존, #심판, #스트라이크존, #KBORC, #비...

blog.naver.com

*원문에서 일부 내용을 약간 수정하였고, 이미지의 배치를 약간 다르게 했음을 알립니다.

728x90

안녕하십니까? 요즘 코로나19 관련해서 전 세계 많은 업계들이 힘들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만 그래도

이 힘듬을 위로해 줄 KBO리그 프로야구가 개막을 해서 다행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메이저리그도

7월 이후로 개막이 밀렸기 때문에 그 기간동안 KBO리그의 경기들이 미국에 중계된다는 것에 상당한

자부심을 느끼고 있는 야구팬 중에 한 사람의 입장에서, 이번에는 야구 관련 은어라기 보다는 KBO리그에

관련된 사이트 3곳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팬들이 몇 년 전부터 아실 사이트도 있을 것이고,

올해 처음 생긴 사이트도 있으니 많은 방문 바랍니다. 우선 많은 분들에게 '비더레','퇴근'등의 단어로

알려진 '비 더 레전드, 레전드닷컴'이라는 사이트의 경우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어떤 사이트인지 아실

수 있으며, 팬들이 야구를 즐기면서 낮은 확률이지만 상금도 받아갈 수 있는 일석 이조의 사이트입니다.

비더레전드라 하면 kbo 통계 관련 사이트인 '스포츠투아이'에서 만든 모바일 어플임을 알려 드립니다.

*pc버전 사이트 url - https://www.legend2i.com/index.aspx-회원가입 후 비더레에 참여하시면 됩니다.

 

레전드닷컴

야구 기록 통계 전문 사이트, 비더레 분석, 팬을 위한 커뮤니티

www.legend2i.com

이 비더레의 핵심 컨텐츠는 매 경기마다 안타를 칠 타자를 선택한 후 그 타자가 안타를 치면 '퇴근'을 하시면

되는 방식입니다. 40회 연속으로 퇴근을 성공한 사람들끼리 상금을 배분하여 받는 방식으로 지금 이 글을

포스트하는 시점에는 40경기는 커녕 아직 10%도 진행되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에 당첨자가 없음을 알려

드립니다. 타자 선택 뿐만 아니라 퀴즈, 룰렛 등으로 받은 '레전드 머니'도 많이 모으시면 현금으로 환전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 저는 이 부분에 대해 딱히 관심이 없음을 알립니다. 레전드투아이는 스포츠투아이의

사이트라 그런가 도메인이 레전드투아이고 실제로는 '레전드닷컴'으로 부르고 있네요. 만약 여러분이

찍은 타자가 첫 타석에서 안타를 친 경우(3회 이전)'조기퇴근'이라는 글귀가 뜬다고 합니다. 반대로, 일부러

상대팀의 타자를 찍어서 안타를 못 치게 하는(자신의 콤보를 포기하시는) '혈막'네티즌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실시간 득표 수, 유저들의 콤보 순위도 확인하실 수 있으며 해당 선수가 경기에 미출전한 경우는

'패스'가 나온다고 합니다. 아마 현재까지 최고 콤보 1위는 14콤보로 추정되네요. *비 더 레전드의 경우

KBO 선수 및 가족들/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자들은 참여가 제한된다고 합니다.(당연한 이야기지요?)

*이어서 '스트존'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원래 '스트라이크존'이라고 풀 네임을 쓰는 게 맞다고

보여지나 해당 이름을 모 스크린 야구장 브랜드가 먼저 선점했기 때문에 줄여서 '스트존'이라고 부르는 듯

합니다. 말 그대로 특정 경기의 주심의 스트라이크 존을 분석하는 사이트인데 어떤 심판이 편파적인지,

어떤 심판의 존이 좁은지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사이트 도메인은 https://strikes.zone/입니다.

 

스트존

KBO 프로야구 투구 분포도 정보

strikes.zone

해당 사이트는 com 또는 co.kr, net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우선 스트라이크 존이라고 하면 홈 플레이트(홈 베이스 X)와 평행하게 설정된 가상의 공간으로,

대개 타자의 무릎부터 상/하체의 경계선 사이를 스트라이크 존으로 보고 있음을 알립니다. 면적, 위치는

주심이 누구냐에 따라 약간 다르고, 제3스트라이크가 루킹삼진이 된 경우 다양한 심판 콜을 볼 수 있지요.


300x250

*스트존 로고, 심판의 스트라이크 존 뿐만 아니라 투수의 제구력도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사이트인 듯 합니다.

본인 임의로 4개를 추리다보니 4개 중 3개가 NC 경기이고 그 중 하나는 개막전으로 고르게 되었습니다

*위 이미지는 최근 진행된 경기 중 4경기를 추려 캡처한 것입니다.

날짜를 검색하고 원하는 경기를 누르면 해당 경기의 스트라이크 존이 나옵니다. 볼 판정된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삼진의 경우 노란색만 루킹삼진(타자의 헛스윙 x)이고 나머지는 전부 헛스윙 삼진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스트라이크 존에서 먼 공이 삼진이 된 경우 타자의 선구안이 좋지 않음 또는 투수의 구위가 좋음을 알 수 있지요.

*심판의 이름은 논란을 막기 위해 모자이크 처리 하겠습니다.(해당 사이트에 가서 직접 보면 나옵니다.)

*저는 이 스트존의 분석 결과가 네이버 스포츠의 문자중계보다 훨씬 정확한 데이터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닝별로 따로 나눠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투수의 투구수가 많은 경우에는 더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상세'를 누르시면 파울 또는 타격이 된 공까지도 나오며, '설정'버튼에서는

야구공 스타일, 공 크기를 조절 가능하며 위 이미지보다 스트라이크 존을 넓힐 수도 있음을 알립니다.

*위 이미지 4장 모두 필터+자동보정 처리를 하였음을 알려 드립니다. *스트라이크 존의 아래임에도

불구하고 스트라이크 된 공이 몇 개 보입니다. 존에 대해 경기 중 한 이닝 당 하나 정도는 실수를 할 수

있다고 보고,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를 착용해서 시야가 흐려질 수도 있다고 봅니다만, 일관성이

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개선을 해야 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마지막 사이트 올려 드리겠습니다.

마지막 사이트는 https://www.kborc.com/main.do로 KBORC라고 하는 'KBO 비디오판독센터'라고 합니다.

 

KBO 비디오판독센터

제28조 비디오 판독 비디오 판독 제도는 KBO 리그(시범경기, 정규시즌, 올스타전, 포스트시즌)에서 아래 3항(비디오 판독 대상 플레이)의 규정에 의거 실시된다. 1. 비디오 판독 대상

www.kborc.com

매 경기마다 일어났던 비디오판독 상황 영상을 올려 주는 사이트로 팬들의 심판에 대한 신뢰를 높여 주는

사이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판독을 해도 오심이 있는 경우는 있습니다만 번복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심판진들의 부담을 줄여 주는(다만, 번복률이 높은 심판은 욕을 먹겠지요.) 효과도 있다고 합니다. 개막전부터

이 글을 쓰는 날까지 총 75건의 판독이 있었고 경기당 1.12건 정도의 판독이 있어서 한 경기당 1건 이상은

비디오 판독을 했다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번복률은 저의 생각보다 1.67%p 정도 높네요. 위 이미지를

보시면 이번에 심판이 포수와 대화를 통한 판정을 했고 이후 감독까지 퇴장되었고 논란이 되었던 문제의

영상도 보실 수 있는데 판단은 야구팬 여러분들께 맡기도록 하겠습니다. 총 14개 조항의 비디오 판독 규정을

볼 수도 있는데 대표적인 규정이 헛스윙 여부, 포스아웃 여부, 홈런타구 파울 여부 등이라고 생각합니다.

75건 중 태그아웃/포스아웃 관련 판독이 64건, 안타성 타구의 노바운드 포구 여부 5건, 그 외 6건입니다.

*위 자료를 엑셀차트로 정리해 봤습니다. *비디오 판독의 경우 축구에서는 'VAR'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습니다.


반응형

이 사이트를 통해 구단별 비디오판독 신청 횟수를 알 수 있고, 번복률도 계산 가능합니다.(아래 자료는 5.24 기준임.)

이 맛에 NC를 응원합니다(감독님의 눈이 좋은 것인지, nc쪽에 오심을 많이 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NC다이노스 번복률 보십시오. 시즌 초임에도 번복률 최하위 두산과 거의 7배 가까운 차이를 보이네요.

nc의 경우 롯데, 삼성, sk보다 적게 신청했음에도 번복된 건수는 훨씬 많습니다.(2020년 5월 24일 기준)

이상으로 현 KBO 리그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사이트들을 알려 주는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과거에 비해 수준이 높아진 팬층에 대응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생겨 기쁘다는 멘트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S. KBORC에서 RC는 Replay Center(리플레이 센터)의 약자라고 합니다.

ps2. 스트존에서 제가 몰랐던 기능인데, 볼에 커서를 대면 해당 공을 던진 투수/상대한 타자가 나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