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의 원문은 https://blog.naver.com/newpark314/222129536315입니다.
경부선 밀양강철교& 김해 상동 매리 ~양산 원동 화제리) 낙동대교(가칭) 신축건설공사현장 - 20. 10
#경부선, #철도, #밀양강철교, #김해, #양산, #대교, #낙동강횡단교량, #상동, #원동, #매리, #화제리, #신...
blog.naver.com
*원문에서 일부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사진은 원문 블로그로 가셔서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음 검색의 경우 검색량이 많지 않아서 이 포스트의 조회수도 거의 없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두 신축현장은 개통 시기도 다르고, 건설 목적 및 건설사도 전혀 다른 시설임을 알립니다.
이 부분에 대해 같이 올린다고 서로 상관 있는 현장으로 오해를 하시는 부동산 및 건설, 각종 조합 업자들이
있어서 제가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같은 경부선 기찻길에서 보이는 현장이기 때문에 합쳐서 올리는 것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경부선 철도의 밀양역과 물금역 인근에서 계속 보실 수 있는 현장으로
한 곳은 기존 철도 구간을 새로 건설하여 이설하는 현장이고, 다른 한 곳은 산업도로를 새로 건설하는
것인데 낙동강을 횡단하는 또 하나의 교량을 짓는 것입니다. 사실 이 두 시설의 공통점이 있긴 있는데
둘 다 강을 건넌다는 것이네요. 하나는 남북으로 건너고 다른 하나는 동서로 건설되는 시설입니다. 우선
경부선 철도상에 건설되는 '밀양강철교'의 경우 약 100년 이상의 역사를 함께해 온 철도 교량이지요. 해당
교량의 노후화로 인해 2021년 말을 목표로 새로 건설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양 방향 선로가 꽤 떨어져
있었고 부산 방향 하행의 경우 커브 때문에 거리가 약간 길었던(속도는 어차피 밀양역과 매우 가까운 위치
때문에 빠르지는 않았을 겁니다.) 부분이 있는데, 이 거리가 약간 단축된다고 합니다. 밀양강철교를 포함한
밀양역 북쪽 1.5km 정도의 구간이 새로 이설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구간의 경우 철도 애호가들이
가끔씩 촬영하는 포인트로 잡기도 합니다. 이어서 김해 상동 매리에서 양산 원동 화제리를 잇는 가칭
'양산 낙동대교'의 경우 열차를 타고 물금역에 도착하기 전에(상행은 물금역 출발 2분 후) 보이는 교량으로
저는 '매리~화제리 간 대교'로 칭하겠습니다. 원문 블로그에 올렸던 2019년의 건설 모습에 비해 꽤 많은
진척이 있었으나, 양산 시내 방면 노선 선정의 문제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어 전체 구간 개통은 빨라야
2024년 말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단 매리~화제리 간 교량은 꽤 지어진 상태입니다. 일단 관련 영상은
https://tv.naver.com/v/16373210 사이트에 가셔서 보시면 되고 바로 이미지들을 올려 드리겠습니다.
밀양강철교, 김해 매리~양산 화제리 간 낙동대교 교량 신축건설공사현장+a - 20. 10. 18
newpark314의 채널(신축공사현장 外) | 본 영상은 정말 오래간만에 올리는 신축공사 현장으로 많은 철도 동호인들의 사진 촬영 스팟인 밀양강철교의 새 교량 신축현장과 김해 상동 매리와 양산 원
tv.naver.com
2장은 밀양강철교 북쪽의 다른 교량입니다. 노반의 경우 포장(?)을 앞두고 있었습니다. 밀양강철교의 경우 교각은
전부 만들었고 상판의 경우 3분의 2 정도 이어 둔 상태로, 13개월 전에 비해 매우 큰 진척이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교량을 다 건설하고 궤도를 설치하고 전력선까지 만드려면 시간이 꽤 걸려서 개통 시기가 2021년 말이 된 듯
합니다. 해당 시점부터는 지금 현재 건너는 철교보다 더 안전하고 빠른 교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될 것 같습니다.
신 밀양강철교는 현 밀양강철교 상/하행선의 사이에 건축되고 있는데, 좌/우측 벽의 모습이 상당히 멋집니다.
*사실 강을 횡단하는 철교는 예전 대구경북 쪽 금호강철교가 먼저 새로 건설되어 이설되었다고 합니다.
매리~화제리 교량도 보시면 2022년 말에는 개통할 것 같은데 연결도로의 공사가 늦어져 2024년 개통이라고
합니다. 작년 9월 촬영분과 비교했을 때 교량 거더가 연결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원래 김해와 양산 간 구간의 경우
유료 고속도로를 타거나, 혼잡한 부산시내 도로를 거쳤어야 이동이 가능했는데 이 도로의 건설로 김해의 경우
비록 외곽 지역이긴 합니다만, 양산과 바로 교류가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저는 이 도로를 산업도로의 형태로
보고 있지만, 향후 이 도로를 지나는 김해~양산 구간 시내버스가 생기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알립니다......
보시면 예전에 찍었던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낙동대교와 특징이 거의 같습니다. 왕복 4차로에(다만, 제한
속도는 80km/h 또는 그 이하일 겁니다.) 서에서 동으로 갈 수록 높이가 높아지고 커브가 있는 구조까지
비슷합니다. 김해와 양산쪽 기존 도로와 연결하는 교차로만 만든다면 2022년 말 조기개통도 될 듯 합니다.
이어서 이번에 건설되는 동대구역의 승강장 고객편의시설 신축 현장 사진 3장과 무궁화호 관련 정보를 담아낸
사진 3장을 올려 드립니다. 동대구역의 경우 KTX 플랫폼 쪽에만 고객 편의시설이 잘 갖춰졌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는데 이번에 개선을 해서 무궁화/ITX-새마을 탑승장에도 고객 편의시설을 2020년 11월까지 공사한다고
합니다(더울 때 시원하고 추울 때 따뜻한 실내 대기실이라고 하네요.). 그럼 이어서 무궁화호 관련 2가지 소식 중
첫 번째 소식은 21세기에 생산된 비교적 신형 무궁화호지요. '리미트 객차'라고 많이들 부르시는 객차인데, 일부
리미트 객차의 커튼이 기존 좌우로 여는 형태가 아닌 상하로 올리고 내리는 블라인드식으로 바뀌었다는 내용이며,
작년 말부터 많은 철도 동호인들이 알고 있었던 내용인데, 1년 사이에 개조된 객차가 늘어난 것 같아 저도 이 소식을
전해 봅니다. 누리로나 ITX-새마을의 객차가 떠오르는 블라인드로 제가 봤을때 기존 커튼보다 훨씬 나은 형태인 것
같으며, 햇빛을 차단하는 부분에서도 기존 커튼과 비슷할 듯 합니다. 다만, 앞으로 5년 정도만 쓸 객차의 커튼을
개조하는 것은 낭비라는 이야기도 있긴 합니다. 아, 리미트 객차도 초기형과 후기형으로 나뉘는데 후기형 중
3칸을 남기고 나머지는 장항선 투입용 새마을 객차로 승격된 것 다들 아시리라 믿습니다. 그 객차들이나 KTX-1의
블라인드는 4자리가 한 세트로 되어 있어서 옆 풍경을 보기 은근히 불편했던 측면이 있었는데 이번에 개조된
객차는 2자리당 한 블라인드라 상당히 마음에 들었다는 뜻입니다.(물론 등받이를 뒤로 밀어 둔 상태면 애매해질 수
있긴 합니다.) 한 편성에 리미트 2칸이 연속으로 이어진 상황에서 1칸은 기존 커튼이고 다른 1칸은 블라인드인
위 사진과 같은 상황도 볼 수 있습니다. 이어서 2번째 소식의 경우 역시 일부 무궁화호 객차, 특히 4호차용 입석
객차 관련 소식인데 '공공와이파이( #무선인터넷 , Wi-fi)'가 설치된 객차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ITX-새마을
까지는 코레일의 자체 정책으로 서비스하는 것이나, 무궁화호 와이파이의 경우 정부의 와이파이 존을 늘리겠다는
공약사항 하에 진행되는 것으로 상당히 칭찬할 만한 정책이고 향후 나올 EMU-150 객차에도 무선인터넷 기기가
달려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입니다.(물론 정권이 바뀌면 어찌 될 지 모르겠습니다.) 'LG U+'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접속 시 LG U+의 IP로 뜨게 되며, 형태는 '공공와이파이'임을 알려 드립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아, 블라인드의 경우 프리미엄 고속버스에 달린 블라인드보다 다루기 쉽게 되어 있어, 매우 좋았습니다. 원문
블로그에는 열차 후부에서 찍은 풍경사진 몇 장도 올려 드렸지만 여기서는 생략하고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기타 일상생활에서의 썰 > 각종 신축건설공사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산선 경전철(양산 도시철도, 노포북정선) 양산시청역, 양산종합운동장역(가칭) 신축건설공사현장 - 21. 1. 10 (0) | 2021.01.16 |
---|---|
부전마산복선전철 관련 브리핑(공정률 관련 정보), 신축건설공사현장(장유역, 사상역, 가락ic역 등) - 2020년 12월 버전 (0) | 2021.01.08 |
[철도 신축건설공사현장] 동해선 울진역(울진읍) 인근 구간, 중앙선(도담~영천 복선전철) 신 안동역(KTX) 인근 구간 - 20. 11. 4 (0) | 2020.11.30 |
도담영천복선전철(중앙선 복선전철) 영주~풍기 구간 신축건설공사현장 - ver. 201906 (0) | 2020.03.24 |
김해 장유온천 ↔ 2호광장(대청 ↔ 무계) 계획도로 신축건설공사현장 - 191020 (0) | 2019.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