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 터미널 시간표, 잡사, 탑승기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시외버스터미널, 창원고속버스터미널) 시간표, 요금 정보 - 250304.

반응형
728x170

*원문 url (새 창 열림) - https://blog.naver.com/newpark314/223793823918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시외버스터미널, 창원고속버스터미널) 노선별 시간표, 요금 정보 - 25030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창원시외버스터미널, #창원고속버스터미널, #시외버스, #고속버스, #시간표, #요금,...

blog.naver.com

원문에서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올릴 예정입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경남 창원시의 주요 버스 터미널들 중 한 곳인 창원종합버스터미널의 노선별 시간표,

요금 정보를 올려 드리겠습니다. 이 터미널의 경우 시간표 시인성도 좋고 촬영도 편해서 좋습니다. 여기 블로그에는 

6번째로 올리는 창원종합버스터미널의 (창원시외버스터미널, 창원고속버스터미널) 시간표입니다. 시작하겠습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건물 정면 모습창원종합버스터미널 출입문에 붙은 명칭
원문에서 추가 필터를 적용했습니다. 각 이미지를 클릭 또는 터치할 시 확대 가능한 화면이 나옵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건물의 외부 모습입니다.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층은 1층밖에 없고 2층부터는 버스 업체의 

관계자들이 사용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건물 한글 간판 위에 디지털 시계가 있습니다. 시설 자체는 정말 

좋은 편이긴 합니다만 건설된 지 15년 넘게 지난 곳이라 내부에는 세월의 흔적이 보이는 곳이 있긴 합니다. 간판 

좌측에는 영어, 간판 우측에는 한자로 표기되어 있어서 외국인들의 이용도 편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출입문에 붙은 

터미널 글도 캡처했습니다. 종합버스터미널이라 시외버스, 고속버스 모두 취급합니다. 터미널 많은 이용 바랍니다. 

심야버스 요금 인상 전 촬영한 마지막 터미널이라 심야버스 요금표는 아래 별도로 첨부한 이미지를 보시면 됩니다.


728x90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고속버스 서울행 1창원종합버스터미널 고속버스 서울행 2

고속버스 중 서울경부(강남) 노선은 그냥 서울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전 대비 80~90% 정도만 배차 중인

것으로 보이며 프리미엄, 우등, 일반 고속버스의 3개 등급으로 배차 중입니다. 선산휴게소 하차가 가능한 배차 시간도 

있으니 확인 바랍니다. 선산 휴게소까지는 우등 14100원, 일반 9300원입니다. 첫 차는 6시 우등입니다. 막차는 익일 

새벽 1시 심야 프리미엄으로 오전 시간대는 40분 간격이고 오후 시간대는 30~90분 간격으로 배차 중입니다. 서울행 

노선은 철도 이용이 훨씬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터미널 주변이 목적지이신 분들께서는 고속버스 이용도 괜찮으며 

특히 편안한 프리미엄 고속버스 이용도 괜찮습니다. 창원역을 경유하여 운행합니다. 동양고속과 중앙고속에서 같이 

배차, 운행합니다. 창원 고속버스 터미널 ARS 번호도 표기해 드렸습니다. 프리미엄 고속버스 요금은 평일과 주말이 

다른 부분 유의 바랍니다. 우등 36800원, 심야우등 40400원, 일반 24800원입니다. (우등도 중고생 할인 됩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고속버스 동서울, 성남, 용인 방면창원종합버스터미널 고속버스 광주 방면

동서울 노선은 동양고속, 성남 노선은 중앙고속에서 배차 중입니다. 동서울 노선은 하루 4회로 오전 2회, 오후 2회 

균일하게 배차 중입니다. 동서울 노선의 경우 프리미엄 요금이 누락되어 제가 직접 입력했습니다. 주중 43800원, 

주말 45700원입니다. 주말 요금도 정가에 비해 저렴한데 고속열차와의 경쟁을 위해 이렇게 책정되었다고 합니다. 

15시 5분 버스는 일반고속입니다. 성남 노선은 오전 1회, 오후 3회로 우등 36100원, 일반 24300원을 받습니다. 

원문을 작성하는 날 성남 터미널 운영이 정상화되었다고 합니다. 용인 노선도 오전 2회, 오후 2회로 우등 3회이고 

프리미엄 1회입니다. 용인 노선의 프리미엄 버스 요금도 전광판에 누락되어 있어서 찾아서 입력했습니다. 동서울 

노선보다 가까워 보임에도 동서울보다 조금 비싼 점 아쉽습니다. 다만 우등은 35600원으로 동서울 방면보다 약간 

저렴하긴 합니다. 광주 노선의 경우 창원이 최초 출발지인 버스는 8회 중 단 1회로 알고 있습니다. 5회는 김해에서, 

2회는 진해에서 출발했습니다. 우등 5회, 프리미엄 3회입니다. 광주행 중 일부 버스는 나주혁신도시를 경유한 후 

나주 터미널까지 운행하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해당 배차는 오전 1회, 오후 1회로 나주까지는 30000원입니다. 

첫 차는 8시고 막차는 19시 30분입니다. 창원과 광주 간의 교류도 나름대로 있는 모양입니다. 섬진강 휴게소까지 

탑승 가능한 배차는 오후 시간대 2회 뿐이며 11600원입니다. 광주까지는 우등 23300원, 프리미엄 30300원을 

받고 있습니다. 주말 중 금, 일요일에는 저녁 시간대에, 토요일에는 오전 시간대에 임시 버스가 배차되는데 토요일 

배차는 수요에 따라 없을 수 있습니다. 소요 시간의 경우 도로 사정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부분 유의하시면 됩니다. 

상기 노선 좌석 예매는 https://www.kobus.co.kr (새 창 열림) 또는 티머니 GO 어플을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1-1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1-2

시외버스 노선의 경우 전광판 좌측에 1번부터 5번까지의 번호가 표시되기 때문에 누락 없이 쉽게 촬영 가능한 점 

좋습니다. ARS 번호가 고속버스와 다른 부분 유의 바랍니다. 한 노선에 일반, 우등 등급이 같이 다니는 경우 색이 

진한 시간대가 우등입니다. 사상까지는 국도 구간 비율이 높아서 일반 4700원, 우등 6200원, 심야 5500원입니다. 

심야 버스가 유독 비싸다는 느낌이 드는데 정우상가 추가 경유가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첫 차는 오전 

6시 20분이고 주간 막차는 밤 9시 50분입니다. 심야 버스는 밤 11시 15분과 익일 새벽 0시 30분에 배차 됩니다. 

코로나19 이전보다 적은 하루 60회 운행합니다. 배차 간격이 20분 이상으로 벌어지는 시간대도 있는 반면 12분 

정도로 붙어 있는 시간대도 있기 때문에 시간표를 확인하시고 이용 바랍니다. 지정좌석제 노선이라 예매를 하시면 

편리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동래-해운대 노선의 경우 동래 6000원, 해운대 7400원입니다. 동래는 동해선 동래역 

인근에 하차하게 됩니다. 주간 배차는 첫, 막차만 표기되어 있고 심야 시간대만 표기되어 있습니다. 동래-노포동행 

노선도 있는데 노포동행 노선의 동래는 해운대 노선과 달리 1호선 동래역 인근에서 하차를 하게 됩니다. 과거에는 

해당 부분에서 혼선이 있었으나 요즘에는 예매 사이트 또는 매표소에서 동래 하차지 구분이 되어 있기 때문에 딱히 

혼선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노포동 요금도 해운대와 같은 7400원입니다. 하루 10회로 쪼그라든 부분 아쉽습니다. 

첫 차 시간은 8시 45분, 막차는 19시 40분으로 20분 간격으로 붙은 시간대도 있지만 1시간 이상 간격으로 벌어 

지는 시간대가 많은 점 유의 바랍니다. 동래 방면 노선은 만덕터널 및 부산 시내 도로 상황에 따라 소요 시간 편차가 

많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울산 노선은 10100원으로 하루 11회 배차 중입니다. 울산 노선이 노포동 노선보다 횟수가 

많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 첫 차는 6시 30분, 막차는 21시 20분으로 오전 시간대 배차가 적다는 느낌을 꽤 

많이 받았습니다. 시간표 확인 후 이용 바랍니다. 경주-포항 노선은 경주 13900원, 포항 19400원으로 국도 구간 

비율이 높기 때문에 요금이 비싼 것 같습니다. 양산은 10회 모두 경유하며 10회 중 5회만 언양을 추가로 경유하는 

상황입니다. 울산 시내의 목적지에 따라 언양 하차 후 좌석버스 이용도 괜찮습니다. 특히 8시 30분 및 13시 정각에 

출발하는 언양행이 울산 노선의 공백을 대체해 준다고 봅니다. 첫 차는 7시 20분, 막차는 20시 10분으로 나름대로 

자주 배차 중입니다. 부산, 울산 방면은 경상남도 소재 업체 배차이고, 포항 노선은 경상북도 소재 업체 배차입니다. 

개인적으로 상기 노선 중 사상을 제외하고 나머지 일부 배차를 신설 장유 터미널에 중간 경유시켰으면 좋겠습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1-3 (동래, 해운대)

동래고-해운대 방면 배차는 평일과 주말이 다르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오전 배차는 평일, 주말이 동일한 

상황입니다만 오후 배차가 주말 쪽이 많습니다. 주말에는 금요일도 포함입니다. 여기서 의문이 드는 점이 대체 

공휴일 관련 사항인데 전년도에 미리 결정된 대체 공휴일에만 주말 배차를 적용하고 해당 공휴일의 1~2주 전에 

갑작스럽게 결정된 대체 공휴일에는 평일 배차를 적용합니다. 두 번째 의문은 주말 24시 10분 배차인데 해당 

시간대 배차는 금, 토, 일요일이 아닌 토, 일, 월요일 새벽 배차로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6시 첫 버스부터 

10시 30분까지는 정확하게 30분 간격 배차라 이미지 하단부에 중간 시간을 표시했습니다. 평일, 주말의 막차 

시간이 크게 달라지는 부분 유의 바라며 버스 이용 바랍니다. 코로나 이전 대비 70% 정도만 다니는 듯 합니다.


반응형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2-1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2-2

시외버스 2번 배차는 수도권, 강원권 방면입니다. 과거에는 고양행도 있었으나 너무 멀어서 없어진 상황입니다. 

특이하게도 인천을 찍고 부천까지 올라 가는 노선이 하루 5회 있습니다. 부천까지는 41100원을 받습니다. 인천 

터미널이 아닌 인천공항 방면 노선도 있는데 새벽 시간대에는 매표소가 운영되지 않으므로 모바일 승차권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리미엄 4회, 우등 8회입니다. 여러분들이 이용할 항공사의 터미널에 따라 하차 장소가 

달라집니다. 우등 49500원, 심야우등 54500원입니다. 인천국제공항 노선은 다른 시외버스와 반대로 새벽~오전 

시간대 배차가 많은 편입니다. 인천공항 뿐만 아니라 인천 송도, 청라, 을왕리 등으로 가실 분들께서도 인천국제공항 

방면 버스 이용이 좋습니다. 오산, 수원, 안산의 3곳 중 철도(전철) 연계가 가장 잘 되는 곳은 오산이라고 생각합니다.
첫 차는 6시 30분이고 막차는 23시 30분 심야 버스입니다. 14시 20분 버스는 일요일에만 운행합니다. 오산까지는 

33100원, 수원 36100원, 안산 40300원입니다. 오산 수요도 나름대로 있는 모양입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원주 

방면 노선도 있는데 7시 40분 버스만 매일 배차하고 11시 50분 차는 금~일요일에만 배차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오후 배차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만 수요 등 여러 이슈로 대구 서부정류장이나 안동 환승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원주까지는 31700원입니다. (이천, 의정부 방면도 하루 2회 정도는 재개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꽤 많이 있습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3-1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3-2

충청, 경북 방면 노선입니다. 충주와 청주 노선은 '충-청-충-청-충-청'의 순번으로 배차 중인데 충주 노선만 우등 할증이 

되어 있습니다. 청주 노선은 KTX 오송역이 의외로 경쟁력이 있어서 요금이 저렴한 편입니다. 청주행의 경우 남청주를 

추가 경유합니다. 충주 방면도 나름대로 수요가 있는 모양입니다. 대전 노선은 23100원으로 하루 8회 운행합니다. 첫 

차는 8시고 막차는 20시입니다. 8회 모두 창원이 최초 출발지인 차량입니다. 뜬금없이 해운대고속 배차로 되어 있는데 

25년 3월부터 이렇게 되었다고 합니다. 대전까지도 철도 이용이 좋을 수 있습니다. 대구 서부정류장 노선은 그나마 자주 

다니는 것으로 보이며 하루 12회입니다. 개인적으로 심야 버스가 없는 부분 아쉽습니다. 6시 40분 첫 차와 다음 차까지만 

90분 간격이고 이후 시간대는 1시간 간격입니다. 다만 18시 정각 버스는 도로 사정으로 인해 18시 10분이 아닌 18시 정각

 출발인 것입니다. 막차는 20시 10분입니다. 창원시과 대구와의 교류도 나름대로 활발한 듯 합니다. 14회 전부 우등입니다.

 구미핼 노선은 짝수 회차만 매일 운행하고 홀수 회차는 금~월요일에만 운행합니다. 전부 우등으로 15800원입니다. 고속 

도로 구간이 대부분이라 저렴한 편이고 열차에 비해 소요 시간이 의외로 경쟁력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안동 노선은 오전 

1회, 오후 1회로 전부 우등 등급 버스가 운행 중입니다. 신흥여객 단독 배차로 20500원입니다. 평일에는 수요가 적다고

판단되나 주말 수요는 나름대로 있다고 봅니다. 거창 노선의 경우 하루 3회인데 3회 모두 요금이 다른 특이한 노선입니다. 

진주를 찍고 운행하는 배차는 하루 2회로 오전 배차는 일반, 오후 배차는 우등이라 요금 차이가 있습니다. 13시 35분에 

출발하는 현풍, 고령 경유 배차는 고령 이후 국도를 계속 타면서 쌍림, 묘산, 권빈을 추가 경유합니다. 듣기로는 고령에서 

해인사 방면 버스와 연계된다고는 하는데 이용을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현풍은 대구광역시 남부 지역으로 7000원이라는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고령 10500원, 거창 17300원입니다. 현풍에서 창원으로 돌아 오는 버스가 없다고 

오해하는 분들이 있는데 거창행 노선은 현풍 정류장이 아닌 달성군민체육관(구 터미널)을 경유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4-1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4-2

시외버스 시간표 4번은 진주 등 서부경남 지역 및 전남 순천-여수 방면 노선입니다. 진주 노선은 터미널 시간표에 

표기된 시간은 하루 17회입니다. 17회 중 5회는 우등으로 8400원이고 나머지 12회는 일반입니다. 첫 차는 6시 

50분, 막차는 21시로 나름 괜찮게 배차되어 있으나 19시 차를 놓치면 2시간을 기다려야 막차인 21시 차가 있기 

때문에 열차 이용 등 대체 수단 검토도 좋습니다. 특이하게도 15시 24분에 출발하는 배차가 있습니다. 진주 방면 

버스들 중 2회가 진주를 찍고 거창으로 올라 갑니다. 진주 심야 버스가 없는 것으로 오해하는 분들이 많고 심지어 

일부 버스 매니아님들도 심야 버스가 없는 것으로 오해하는 분들이 계신데 정우상가 인근에서 출발한 버스 2회가 

창원 터미널 앞 시내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BUSTAGO 사이트에서 좌석 조회 가능하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심야 버스는 마산을 경유하여 운행합니다.) 호남선인 순천-여수 방면은 오전 1회, 오후 2회
배차 중이며 우등이 아니라 저렴한 점 정말 다행입니다. 순천 12900원, 여수 17900원인데 경전선 KTX-이음이 

개통한다면 수요 변화가 궁금합니다. 진교-남해 노선은 곤양을 추가로 경유합니다. 진교 8300원이고 남해까지는 

12200원입니다. 하루 5회인데 첫 차만 전날 밤에 들어 와서 창원에서 숙박을 하는 차고 나머지 시간대는 남해군 

지역에서 올라 오는 차입니다. 진교 하차 후 하동 읍내 방면 버스로 연계 이용이 가능할 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천, 

삼천포 방면 노선도 있는데 특이하게도 사천공항을 추가로 경유합니다. 용현은 사천시청 근처에 있는 곳입니다..
첫 차는 6시 10분이고 막차는 21시인데 홀수 회차는 우등, 짝수 회차는 일반입니다. 19시 30분 차로 삼천포에 

내리신 후 택시를 타고 삼천포 신항으로 이동하시면 제주 방면 여객선과 연계가 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나름대로 자주 다니는 듯 합니다. (사천까지는 일반 7000원, 삼천포까지는 일반 9600원입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5-1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시외버스 5-2 (함안군 농어촌버스 포함)

시외버스 5번은 통영, 장승포, 고현, 합천 방면입니다. 함안 및 칠원 방면은 함안군 농어촌버스입니다. 통영 노선의 경우 

마창대교 이용 후 배둔과 고성을 추가로 경유합니다. 하루 9회인데 7시 30분 차를 놓치면 다음 버스가 10시 20분이라 

해당 시간대에는 마산 남부 터미널 이용을 권장합니다. 막차 시간도 18시 20분으로 비교적 이른 편입니다. 통영행 중 

2회가 거제시 장승포로 들어 가는 완행인데 통영에서 대기 시간이 길기 때문에 옆에 있는 고현 방면 버스 이용 후 시내 

버스로 환승 바랍니다. 고현 방면 버스는 거가대교를 경유하는 직행으로 첫 차는 7시 40분, 막차는 20시 정각으로 하루 

8회 다닙니다. 참고로 김해외고까지도 2500원으로 구간 승차가 가능하니 장유 율하 지역이 목적지이신 분들께서도 꽤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현까지는 10600원입니다. (창원시와 거제시의 교류도 나름대로 있는 것 같습니다.) 

의령-합천 방면은 오전에만 2회 있으며 의령 5100원, 합천 11400원입니다. 여기서 출발하는 서쪽 노선은 대부분 마산 

합성동 터미널을 경유합니다만 합성동까지 구간 승차 안 됩니다. 함안, 칠북행 노선은 중리 삼거리까지는 유사한 경로로 

운행하는 듯 합니다. 칠원 노선은 오전 2회, 오후 2회이고 함안 노선은 오전 1회, 오후 3회입니다. 함안행 노선의 막차가 

당겨진 부분이 있으니 확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마산시외버스터미널 내부를 경유하게 하고 창원 시내 버스 정류장 

일부를 통과하는 급행으로 운영했으면 좋겠습니다. 함안군의 경우 미성년자에 한해 교통카드 100원 요금제를 실시하고 

있는데 위에 적힌 내용만 보면 거주지 상관 없이 교통카드를 등록한 모든 미성년자들에게 이 혜택이 적용되는 듯 합니다. 

시외버스 좌석 예매는 https://txbus.t-money.co.kr/main.do(새 창 열림), 티머니 GO 어플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심야버스 요금 인상 표

25년 3월 19일(서울행은 18일)부터 심야버스 요금이 인상되었으니 상기  표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많이 비싸다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시외버스 업체의 재정을 위해서라면 감안해야 할 요소 같습니다.. 

부산 사상 6000원, 해운대 8900원, 서울 우등 44100원, 인천공항 우등 59400원, 인천 46600원, 수원 43300원

등입니다. (진주 방면 심야 버스는 7800원입니다만 터미널에서는 승차권 발권이 안 되는 사실상 별도 노선입니다.) 

[여기 창원종합버스터미널의 홈-페이지(시외버스)는 http://www.changwonbus.com (새 창 열림) 입니다..]


300x250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김해국제공항 방면 리무진 노선창원종합버스터미널 김해국제공항 방면 리무진 노선 시간표

위 노선은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건너 편 팔용가구거리 쪽 전용 정류장에서 승차하는 김해국제공항 방면 리무진 

버스입니다. 세인공항리무진에서 운영 중으로 요금은 8800원입니다. 하루 33회 다니며 첫 차는 5시 35분이고 

막차는 19시 30분입니다. 일부 시간대는 장유를 추가 경유하여 소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부분 유의 바랍니다.

거제현대고속 뉴 그랜버드 슈퍼프리미엄 그린필드중앙고속 유니버스 노블신흥여객고속관광 뉴 그랜버드 슈퍼프리미엄 파크웨이창원종합버스터미널 주변 지도

창원종합버스터미널에서 촬영한 시외, 고속버스들의 사진입니다. 여담으로 경상북도 소재 시외버스 차량들의 행선판을 

LED 전광판으로 교체하는 사업이 진행 중인 것 같습니다. 충남에 이어 2번째 지자체 지원 같습니다. 거제현대고속 기아 

뉴 그랜버드 슈퍼프리미엄 그린필드 차량이 있는데 신형 버스를 많이 출고하는 점 좋습니다. 중앙고속의 현대 유니버스 

노블 신형, 신흥여객 기아 뉴 그랜버드 슈퍼프리미엄 파크웨이 차량인데 전세부 쪽 차량이라 그런 지 LED가 있습니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주변 지도입니다. 과거에 비해 여러 아파트 단지 및 대형 마트 건설 등으로 주변이 발전한 것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고 실제 유동 인구도 늘어 난 것으로 보입니다. 터미널에는 빨간 체크 표시를 했으며 지도의 좌측 하단

부분에 주요 연계 시내버스 번호를 표기해 두었습니다. 파란 체크 표를 한 곳이 김해공항 방면 리무진 버스를 탑승할 수 

있는 정류장입니다. 이쯤에서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고속버스터미널, 창원시외버스터미널) 글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